오는 2020년에 이르면 길리어드 사이언스社의 C형 간염 치료제 ‘소발디’(소포스부비르)가 매출액 1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와 함께 애브비社의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휴미라’(아달리뮤맙)와 사노피社의 항당뇨제 ‘란투스’(인슐린 글라진)가 ‘소발디’와 함께 매출실적 ‘빅 3’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됐다.
영국 런던에 소재한 제약‧생명공학 전문 컨설팅업체 이밸류에이트 파마社는 지난달 30일 공개한 ‘오는 2020년 매출 톱 15 의약품’ 전망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 ‘소발디’는 지난달 22일 길리어드 사이언스社가 공개한 1/4분기 경영성적표에서 22억7,434만9,000달러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나 놀라움을 안겨줬었다. 게다가 올해 1~3월은 ‘소발디’가 지난해 12월 FDA의 허가를 취득한 후 처음으로 맞이한 분기였다.
오는 2020년에 ‘소발디’가 매출랭킹 1위에 오를 것이라는 이밸류에이트 파마측의 예상이 들어맞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주는 대목인 셈.
이밸류에이트 파마측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를 근거로 ‘소발디’가 오는 2020년 131억 달러를 상회하는 실적을 올리면서 ‘휴미라’를 최고의 자리에서 끌어내릴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더욱이 이 같은 예상치는 이밸류에이트 파마측이 길리어드 사이언스社가 1/4분기 경영실적을 공개하기 이전에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했던 평균적인 추정치에 근거를 둔 것이어서 실제로는 더 높은 액수의 매출을 기록할 수 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게 했다.
실제로 이벨류에이트 파마측은 오는 2017년 ‘소발디’의 매출 예상액을 당초의 135억 달러에서 166억 달러로 상향조정한 애널리스트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레디파스비르(ledipasvir)와 ‘소발디’를 복합한 제형이 올해말경 허가되면 인터페론 주사제를 투여할 필요성이 없게 되면서 매출확대 추세에 한층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갔다.
‘휴미라’의 경우 2020년에 126억 달러에 가까운 실적을 올리면서 여전한 위용을 과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소발디’와 ‘휴미라’ 모두 매출이 오는 2017년에 피크에 도달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라고 이밸류에이트 파마측은 설명했다. ‘소발디’의 경우 2017년 136억 달러에 도달한 후 매출이 다소나마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고, ‘휴미라’ 또한 같은 해 142억 달러를 기록한 뒤 신약과 바이오시밀러 제형들에 시장을 잠식당하면서 2019년 ‘소발디’에 추월을 허용하게 되리라는 것이다.
한편 이밸류에이트 파마측은 이번에 집계한 자료가 생명공학 부문의 지속성을 다시 한번 분명하게 드러냈다고 강조했다. ‘톱 15’ 제품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상대적으로 약가가 높고 값싼 카피제형들의 도전으로부터 한결 자유로운 바이오 의약품들이 차지했다는 것이다.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애플리버셉트)와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텍피데라’(푸마르산염 디메칠)와 같이 최근에야 허가를 취득한 신약들이 랭킹권에 이름을 올린 것은 특기할 만한 부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社의 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니볼루맙(nivolumab)은 흑색종 및 폐암 치료제로 유망하다는 점을 들어 아직까지 허가관문을 통과하지 못했음에도 불구, 리스트에 포함시켰다.
니볼루맙은 올해말 또는 내년 초에 임상 3상 시험이 착수될 수 있을 전망이다.
■ 2020년 매출 톱 15 의약품 전망
제 품 명 |
성 분 명 |
업 체 명 |
적응증 |
매출 (10억 달러) | ||
2013 |
2020 |
발매 연도 | ||||
소발디(복합제 포함) |
소포스부비르 |
길리어드 사이언스 |
C형 간염 |
0.14 |
13.12 |
2013 |
휴미라 |
아달리뮤맙 |
애브비 |
류머티스 |
11.02 |
12.57 |
2003 |
란투스 |
인슐린 글라진 |
사노피 |
당뇨병 |
7.59 |
10.02 |
2000 |
엔브렐 |
에타너셉트 |
암젠/화이자 |
류머티스 |
8.78 |
8.58 |
1999 |
레미케이드 |
인플릭시맙 |
J&J/머크&컴퍼니 |
류머티스 |
8.39 |
8.40 |
1998 |
자누비아 +자누메트 |
시타글립틴 |
머크&컴퍼니 |
당뇨병 |
5.83 |
6.89 |
2006 |
아바스틴 |
베바시주맙 |
로슈 |
유방암 |
6.75 |
6.57 |
2004 |
자렐토 |
리바록사반 |
바이엘/J&J |
혈액응고 |
1.95 |
6.44 |
2008 |
니볼루맙 |
- |
BMS |
암 |
- |
6.33 |
미승인 |
레블리미드 |
레날리도마이드 |
세엘진 |
골수종 |
4.28 |
6.23 |
2006 |
프리베나 13 |
- |
화이자 |
백신 |
3.86 |
6.03 |
2009 |
텍피데라 |
푸마르산염 디메칠 |
바이오젠 Idec |
다발성 경화증 |
0.88 |
5.74 |
2013 |
맙테라 |
리툭시맙 |
로슈 |
암 |
7.50 |
5.61 |
1997 |
아일리아 |
애플리버셉트 |
바이엘/레게네론 |
황반변성 |
2.03 |
5.59 |
2011 |
솔리리스 |
에쿨리주맙 |
알렉시온 |
야간 혈색소뇨증 |
1.55 |
5.12 |
2007 |
01 | 민간보험 ‘셀프심사’에 진료권·선택권 흔들…... |
02 | 중국·미국 격차 1%p…화장품 수출 지형 변화 ... |
03 | 노보노디스크, 2025년 실적 전망 하향조정..왜? |
04 | 화장품, 아마존 입점하려면 미국 시험 필수? |
05 | 아울바이오,IPO 본격 시동...2027년 코스닥 ... |
06 | 필수약 자급화 가속..식약처,5건 완료-내년... |
07 | 바스테라, 폐동맥고혈압 신약후보 'VTB-10' ... |
08 | 지투지바이오,일반청약 경쟁률 470.1대 1…증... |
09 | 지에프씨생명, 동백나무 엑소좀 피부 회복 ... |
10 | 아이엠비디엑스, ‘환자 맞춤형 항암백신 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