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biopharmaceutical) 부문의 한해 매출액이 200억 달러 줄어들 경우 이는 곧 미국경제에 26만명의 대량실업이라는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미국 제약협회(PhRMA)가 제약산업이 미국에서 고용과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담아 최근 공개한 보고서의 내용 가운데 한 부분이다.
이날 PhRMA의 존 J. 카스텔라니 회장은 “지난 8일 노동부가 발표한 실업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미국경제는 고용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 같은 현실에서 정치인들은 제약산업처럼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업종에 포용적인 정책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는 고령자들을 위한 약제비 지원제도인 ‘메디케어 파트 D’(Medicare Part D) 제도와 관련해 약가를 통제하겠다는 근시안적 제안을 내놓아 고용성장에 역행해선 안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PhRMA가 오하이오州 컬럼버스에 본사를 둔 바텔연구소와 공동으로 작성한 후 이날 공개한 보고서는 제약산업이 미국경제에 엄청나게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보고서는 오바마 대통령과 의회의 지도자들이 정부부채 상한선과 미래의 미국경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고용위기가 더욱 악화되어선 결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백악관과 의회가 정부부채 조정을 위한 합의안의 일부로 ‘메디케어 파트 D’ 제도의 약가통제안을 포함시켰다”며 “그 같은 조항은 미국경제와 환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그 동안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왔던 ‘메디케어 파트 D’ 제도 자체의 근간을 흔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무엇보다 제약기업들은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데다 21세기에 우리 모두가 원하고, 미래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일자리를 창출해 왔음을 정부는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특히 제약산업은 지난 2009년의 경우 미국경제 전체에 걸쳐 총 400만명에 달하는 고용창출을 지탱했다며 구체적인 실례를 예시했다. 이 중 직접적으로 제약기업들이 고용한 인원 수는 67만5,000명에 육박하는 정도이지만, 생산직에서부터 건설업, 빌딩 서비스, 위탁연구, 육아위탁에 이르기까지 6개 업종에 걸쳐 추가적인 고용효과를 발생시켰다는 것.
보고서는 또 제약업종의 고용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특성을 등에 엎고 평균임금 수준이 다른 어떤 민간분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와 함께 2009년에 제약업종의 경제총생산(total economic output) 금액이 9,180억 달러에 달했으며, 같은 해 지방정부와 州 정부 및 연방정부에 총 850억 달러의 세수(稅收)를 안겨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지금 미국경제는 매우 중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며 “우리는 고용을 창출해야지 더 많은 실업 쪽으로 방향을 틀게해선 안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혁신성을 지원해야 할 뿐 아니라 우리 경제에서 가장 혁신적인 분야에 불필요하게 간섭하는 우(愚)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게 보고서의 단언이다.
01 | 펩트론,표적항암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기술... |
02 | 심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비젠프... |
03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지속 투자... |
04 |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 벡스코 개막…... |
05 | 정부·기관·기업 합심해 미국 관세 파고 넘는다 |
06 | 동화약품, 2025 가송 예술상 시상식... 김미... |
07 | 국민 10명 중 9명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 |
08 | 현대바이오USA, 미국 MCDC 정회원 공식 승인 |
09 | 닥터그루트, 북미 코스트코 682개 매장 입점 |
10 | 제이엘케이, 뇌경색 중증도 AI 자동 분석 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