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약 "국민, 약사 전문성과 가격 정책 투명성 높이길 바라"
경기도약사회, 27일 국민이 원하는 약사상 '여론조사 발표회' 성료
박영달 회장 "국민과 함께하는 약사 미래 위해 노력해 신뢰 얻겠다"
이동한 박사, 약국-한약국 명칭 구분 개설 법제화 및 캠페인 등 제안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10-28 06:00   수정 2024.10.28 09:22
서울 리베라호텔 청담에서 27일 열린 경기도약사회의 ‘대국민 여론조사 발표회’에서 이동한 박사가 여론조사 결과와 분석 내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약업신문

우리나라 국민들은 약사들이 전문성을 지속 강화하고 가격 정책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약사회가 일반 국민의 약국과 약사 직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소비자단체연합에 의뢰해 실시한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다. 해당 조사는 넥스트리서치가 8일부터 11일까지 온라인으로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24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및 분석 내용 발표는 이동한 박사(숙명여대)가 맡았다. 이동한 박사는 건강소비자연대 부총재이자 대한약학회 경영약학연구회 회장이다.

이 박사는 "조사 결과는 약사의 사회적 역할과 전문성을 재조명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향후 의료 분야에서 약사의 역할을 더 강화하고 전문성을 인정받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대국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은 약국과 약사에게 △약사 직능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복약지도와 조제, 의약품 추천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고 △의약품 판매 가격에 대한 합리적인 운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박사는 "국민의 이같은 희망사항은 약국과 약사의 역할을 더 중요하게 만들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면서 "약사들은 전문성을 지속 강화하고 가격 정책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 국민의 신뢰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약국-한약국 명칭 구분 개설 법제화 △안전상비약과 일반의약품 차이 홍보 및 처방전 리필제 도입 캠페인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대국민 여론조사는 △의료관련 직능에 대한 인식 △안전상비약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주요 의약품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견해 △약국 이용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들로 구성됐다.

먼저 의료관련 직능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사의 직능(약사 vs 한약사)이 약국 이용자에게 중요한 정보인가'라는 질문에 국민 10명 중 8명(79.6%, 경기도민 77.2%)이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약사가 아닌 한약사도 약국 개설이 가능하다는 점을 아는 국민은 10명 중 2명(21%, 경기도민 18.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사는 '약국', 한약사는 '한약국' 명칭 구분 개설 방안에 대해선 국민의 84.8%가 찬성, 법제화엔 84%가 찬성했다.

이 박사는 "한약국과 약국의 명칭을 구분하는 제도 도입은 적극적으로 공론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안전상비약과 관련해선 이 박사는 "약국에서 판매되는 일반 의약품과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전 상비약의 용량, 성분, 가격 등 차이점을 고지하는 대국민 캠페인을 전개하는 것이 안전상비약에 대한 약사회 대응 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고 전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처방전 리필제에 대한 국민 인지도가 10%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제도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제고 위한 캠페인 요구된다고 이 박사는 밝혔다.

이어 "약국 이용 만족도는 지역과 응답자 특성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지만, 단골약국 이용자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차이를 보였다"면서 "약국 이용 만족도 제고를 위해선 단골고객 확보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개별약국의 단골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론, 약사회 및 분회 차원 역할과 입지와 규모 등 약국 특성을 고려한 개별약국의 실행 방안으로 나눠 모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