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가 신약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의 플랜을 10일 공개했다.
모노클로날 항체 치료제들과 기타 각종 치료제들의 개발을 진행할 때 요구되고 있는 동물실험을 보다 효과적이면서 사람과 상관성이 좀 더 긴밀한 방법들로 대체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새로운 접근방법은 의약품 안전성을 개선하고, 평가절차를 가속화하는 동시에 동물실험 건수를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연구‧개발 비용을 절감해 궁극적으로는 약가를 낮추기 위한 취지에서 설계된 것이다.
이에 따라 FDA의 현행 동물실험 요건은 실험건수를 줄이고, 보다 세련된 방법으로 변경하고, 다양한 방법들로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언급된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는 인공지능(AI) 기반 독성 전산(電算) 모델, 실험실에서 진행되는 세포주 및 오가노이드(organoid: 臟器 유사체) 독성검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방법들은 임상시험 계획(IND) 제출 부분에서 곧바로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임상시험 계획을 제출할 때 새로운 접근방법(NAMs) 자료를 포함하도록 권장하겠다는 것.
상세한 내용은 FDA가 오늘(10일) 공개한 로드맵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FDA는 효능을 확인할 때 관련규제가 동등하고, 임상시험이 이미 진행된 다른 국가에서 이미 존재하는 실제 임상현장 안전성 자료를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FDA의 마틴 A. 매커리 신임 최고책임자는 “너무나 오랜 기간 동안 제약기업들이 세계 각국에서 방대한 규모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 관련자료가 존재하는 의약품들과 관련해서 추가로 동물실험을 진행해 왔다”면서 “오늘 공개된 계획은 의약품 평가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지향하고, 미국민들을 위해 치유와 유의미한 치료가 가속화되도록 하는 동시에 각종 실험에 희생되는 동물들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한 취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매커리 최고책임자는 뒤이어 “인공지능 기반 전산 모델이나 사람의 장기(臟器) 모델 기반 실험실 시험, 실제 임상현장 임상자료 등을 사용해 우리는 안전한 치료제를 환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신뢰할 만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연구‧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약가 또한 낮출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는 공중보건과 윤리를 위한 윈-윈 게임이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FDA는 모노클로날 항체 안전성 평가와 관련한 동물실험을 대체할 때 기대할 수 있는 핵심적인 성과들을 5가지로 요약했다.
첫째, 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활용이다.
공개된 로드맵이 개발자들로 하여금 컴퓨터 모델과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약물의 작용(behavior)을 예측하도록 장려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모델이 모노클로날 항체가 사람의 체내에서 전달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이 같은 체내 전달을 근거로 부작용과 해당 의약품의 분자적 조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FDA는 이 같은 방법이 동물실험 건수를 획기적으로(drastically) 줄일 수 있게 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드러내 보였다.
둘째, 사람 기반 실험 모델(Human-Based Lab Models)의 확립이다.
FDA는 간, 심장 및 면역기관 등과 같은 사람의 장기(臟器)들을 모방한 사람의 장기 유사체들(organoids)과 장기 칩(organ-on-a-chip) 시스템을 실험실에서 배양해(lab-grown) 의약품 안전성을 검사할 때 사용하도록 권장할 방침이다.
이 같은 실험방법들은 동물실험에서 간과될 수 있는 독성의 영향을 내보일 수 있고, 따라서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반응을 좀 더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해 줄 것으로 FDA는 기대했다.(more direct window)
셋째, 규제 관련 인센티브의 부여이다.
FDA는 위에서 언급된 새로운 방법들로부터 도출된 자료를 고려해 반영하도록 관련지침들을 개정할 방침이다.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검사를 진행해 확보된 강력한 안전성 자료를 제출하는 기업들의 경우 일부 동물실험 절차들이 제외될 수 있도록 심사절차를 간소화하고, 투자를 장려한다는 복안이다.
넷째, 신약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처럼 현대적인 기술들이 활용되면 신약개발 절차들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고, 따라서 모노클로날 항체 치료제들이 안전성의 약화를 수반하지 않으면서 환자들에게 보다 빠른 시일 내에 공급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섯째, 규제과학 분야에서 확보하게 될 리더십이다.
FDA는 이번에 공개한 조치들을 통해 현대 규제과학에서 글로벌 리더로서 맡은 바 역할을 재확인하고, 제약업계에 새로운 표준을 확립하고, 혁신적인 검사방법들이 채택될 수 있도록 장려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에서 의회와 학계가 최근들어 좀 더 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검사방법을 사용하도록 압박의 강도를 높여왔음을 상기시켜 주는 대목이다.
FDA는 오늘 발표가 기술진보에 따라 규제과학을 현대화하기 위한 행보의 일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FDA는 범부처협력위원회(ICCVAM)를 통해 이처럼 혁신적인 방법들이 하루빨리 인정받고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립보건연구원(NIH), 국가 독성 프로그램(NTP) 및 보훈처(DVA) 등과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FDA와 연방정부의 제휴기관들은 로드맵을 논의하고 관련단체 등의 의견을 청취하고 반영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 중 공공 워크숍을 개최키로 했다.
차후 FDA는 모노클로날 항체 개발업체들을 선택해 긴밀한 협력과 논의를 진행하면서 비 동물 기반 검사전략을 사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에 착수할 방침이다.
이 파일럿 연구에서 도출되는 내용은 보다 폭넓은 정책변화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매커리 최고책임자는 “새로운 방법들이 뿌리를 내리면 개와 영장류를 포함한 수많은 동물들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01 | [추모의 글] 약수(若水) 백우현(白于玹) 박... |
02 | 부광약품, 전년동기비 26.75%↑상반기 매출 9... |
03 | 이니바이오,보툴리눔 톡신 ‘이니보’ 중남미 ... |
04 | [주목 이 제품] 햇빛화상치료제 ‘리큐번크림... |
05 | 지에프씨생명, 대만 리러브와 전략 제휴…엑... |
06 | 지아이이노베이션-에임드바이오, GI-102 교... |
07 | 아이티켐, 상장 통해 글로벌 'Top-Tier' CDM... |
08 | '화장품의 날' 법정 기념일 첫해 … "100년... |
09 | 셀루메드, AI 기술 활용해 펩타이드 기반 차... |
10 | 윤동한 회장, 콜마홀딩스에 절차상 문제 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