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슨&존슨社의 계열사인 얀센-씨락 인터내셔널 N.V.社는 항암제 ‘다잘렉스’(다라투뮤맙) 피하주사제의 1차 약제 적응증 추가가 EU 집행위원회의 허가관문을 통과했다고 7일 공표했다.
허가를 취득한 ‘다잘렉스’의 적응증은 수술 적합성 유무와 무관하게 다발성 골수종을 신규진단받은(NDMM) 성인환자들을 대상으로 ‘벨케이드’(보르테조밉),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VRd)과 병용하는 1차 약제 용도이다.
독일 함부르크-에펜도르프대학 메디컬센터 호흡기내과의 카차 바이젤 교수(혈액학‧종양학‧간장병학‧골수이식)는 “다발성 골수종이 복잡한 데다 서서히 진행되는 종양의 일종”이라면서 “1차 약제 단계에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를 사용해 치료를 개시하는 것이 종양의 내성과 재발을 예방해 장기적으로 지속적이고 최선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젤 교수는 뒤이어 “피하주사제 ‘다잘렉스’와 ‘벨케이드’, ‘레블리미드’ 및 덱사메타손을 병용하는 요법이 이식수술 적합성 여부와 무관하게 다발성 골수종을 신규진단받은 환자들에게서 심도깊고 지속적인 반응을 나타내면서 효과적이고 사용이 간편한 새로운 표준요법제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꿔 말하면 종양이 진행되거나 환자가 사망에 이를 위험성을 괄목할 만하게 낮춰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잘렉스’는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해서 지금까지 9개 적응증을 승인받은 바 있다.
이 중 5가지 적응증은 자가유래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이 적합하거나 적합하지 않고 다발성 골수종을 신규진단받은 환자들을 위한 치료하기 위한 1차 약제 용도를 비롯해 1차 약제 단계에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오늘 허가에 앞서 ‘다잘렉스’는 지난해 10월 자가유래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이 적합한 다발성 골수종 신규진단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벨케이드’, ‘레블리미드’ 및 덱사메타손과 병용하는 4제 요법이 발매를 승인받은 바 있다.
이 ‘다잘렉스’ 기반 4제 요법은 임상 3상 ‘PERSEUS 시험’의 결과 등을 근거로 승인됐다.
이번에 승인된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의 경우 유도요법 및 공고요법에 이어 ‘다잘렉스’ 피하주사제와 ‘레블리미드’를 사용한 유지요법을 진행한 시험을 통해 효과가 평가됐다.
존슨&존슨 이노버티브 메디슨社의 에드먼드 챈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혈액질환 치료제 부문 대표는 “지난 10년 동안 다발성 골수종을 치료하는 데 주춧돌의 역할을 한 항암제가 ‘다잘렉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제 ‘다잘렉스’는 이식수술 적합성 유무와 무관하게 1차 약제로 전체 유형의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을 승인받은 유일한 항-CD38 항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이번 승인으로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의 향상된 유익성 뿐 아니라 이처럼 복잡한 종양으로 인해 영향이 미치고 있는 환자들의 다양한 의료상의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성과 효능에도 무게를 실을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EU 집행위가 허가를 결정하는 데 참조한 임상 3상 ‘CEPHEUS 시험’은 이식수술이 부적합하고 다발성 골수종을 신규진단받았거나, 자가유래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이 1차 치료법으로 예정되지 않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과 ‘벨케이드’, ‘레블리미드’ 및 덱사메타손 3제 요법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한 시험례이다.
이 시험의 결과는 지난해 9월 25~28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었던 제 21차 국제 다발성 골수종학회(IMS) 2024년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시험결과를 보면 평균 59개월에 걸친 추적조사에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총 미세잔류질환(MRD) 음성을 나타낸 비율이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群에서 60.9%,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群에서 39.4%로 각각 집계되었던 것.
마찬가지로 미세잔류질환 음성이 12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난 피험자들의 비율을 보면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群에서 48.7%에 달해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群의 26.3%를 2배 가깝게 상회했다.
또한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群은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群에 비해 완전반응 이상을 나타낸 비율이 각각 81.2% 및 61.6%로 집계되어 괄목할 만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도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群은 종양이 진행되었거나 피험자가 사망에 이른 비율이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群에 비해 43% 괄목할 만하게 낮게 나타난 것으로 입증됐다.
평균 무진행 생존기간은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群의 경우 분석시점까지 아직 산출되지 않았고,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群에서는 52.6개월로 집계됐다.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기반 4제 요법의 전반적인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다잘렉스’ 피하주사제 및 ‘벨케이드’ 기반 3제 요법과 관련해서 이미 알려져 있는 안전성 프로필과 궤를 같이했다.
전체 피험자들의 10%를 상회하는 비율로 수반된 3/4급 혈액학적‧비 혈액학적 부작용을 보면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빈혈, 말초 신경병증, 설사 및 ‘코로나19’ 등이 보고됐다.
존슨&존슨 이노버티브 메디슨社의 조단 셱터 다발성 골수종 담당부사장은 “존슨&존슨이 지난 20년 이상 오랜 기간 동안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한 연구의 진전을 위해 사세를 집중해 왔다”면서 “환자들을 위한 치료결과를 바꿔놓고자 우리가 기울인 헌신이 지금보다 더 강력했던 적은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존슨&존슨 측은 지난해 9월 30일 자가유래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이 유예되었거나 이식수술이 부적합한 성인 다발성 골수종 신규진단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다잘렉스’ 피하주사제와 ‘벨케이드’, ‘레블리미드’ 및 덱사메타손을 병용하는 4제 요법의 허가신청서를 FDA에 제출한 바 있다.
01 | [추모의 글] 약수(若水) 백우현(白于玹) 박... |
02 | 부광약품, 전년동기비 26.75%↑상반기 매출 9... |
03 | 이니바이오,보툴리눔 톡신 ‘이니보’ 중남미 ... |
04 | [주목 이 제품] 햇빛화상치료제 ‘리큐번크림... |
05 | 지에프씨생명, 대만 리러브와 전략 제휴…엑... |
06 | 지아이이노베이션-에임드바이오, GI-102 교... |
07 | 아이티켐, 상장 통해 글로벌 'Top-Tier' CDM... |
08 | '화장품의 날' 법정 기념일 첫해 … "100년... |
09 | 셀루메드, AI 기술 활용해 펩타이드 기반 차... |
10 | 윤동한 회장, 콜마홀딩스에 절차상 문제 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