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매사추세츠州 캠브리지에 소재한 차세대 전령 RNA(mRNA) 치료제‧백신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모더나 테라퓨틱스社는 자사의 개량 ‘코로나19’ 백신이 최근 새롭게 나타남에 따라 면밀한 모니터링이 진행 중인 BA.2.86(피롤라) 변이에 대응해 8.7배 증가한 중화항체들의 생성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요지의 임상시험 자료 분석결과를 6일 공개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에 따르면 이 개량백신은 올가을 백신 접종시즌을 앞두고 FDA의 허가결정이 임박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국 질병관리센터(CDC)는 고도의 돌연변이가 이루어진 BA.2.86 변이가 이미 ‘코로나19’에 감염된 전력이 있거나 앞서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들에게서 돌파감염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 형편이다.
CDC는 이에 따라 개량 ‘코로나19’ 백신이 중증감염과 입원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 강조하고 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社의 스티븐 호게 이사회 의장은 “공개된 시험결과를 보면 우리의 개량 ‘코로나19’ 백신이 고도의 돌연변이가 나타난 BA.2.86 변이에 대응해 사람들에게서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한 것으로 입증됐다”면서 “EG.5(에리스 변이) 및 FL.1.5.1 변이들에 대응하는 반응을 효과적으로 나타냈음을 입증한 내용으로 우리가 앞서 공개한 자료들과 함께 고려해 볼 때 우리의 개량 ‘코로나19’ 백신이 올가을 백신 접종시즌을 앞두고 중요한 예방대안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는 앞으로도 글로벌 공공보건 위협에 대한 평가를 신속하게 진행하면서 ‘코로나19’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가 보유한 mRNA 플랫폼을 적극 이용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각국의 보건당국들은 오미크론 균주들과 비교했을 때 30회 이상 돌연변이가 나타났을 만큼 고도의 돌연변이가 이루어진 ‘코로나19’ 균주의 일종으로 알려진 BA.2.86 변이를 대상으로 조금도 방심하지 않으면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국가 정부에서는 이미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았거나 감염되었던 전력이 있어 면역력이 확립된 사람들에게서 돌파감염이 나타날 잠재적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캠페인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BA.2.86의 출현은 이미 지배적인 변이로 나타나고 있는 EG.5 및 FL.1.5.1 변이들과 함께 개량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필요성에 무게를 싣게 한다는 지적이다.
백신 접종이 중증감염과 입원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날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이 공개한 개량 ‘코로나19’ 백신의 BA.2.86 변이 대응효과에 관한 임상시험 자료는 각국의 보건당국들과 공유되고 있는 가운데 동료 전문가 그룹 평가 의학 학술지에도 게재를 위해 제출됐다.
01 | 다원메닥스,2026년 코스닥 상장 재도전...중... |
02 | 아이센스, 영국 연속혈당측정기 시장 진출 |
03 | 동성제약,나원균 사내이사 '유지'- 이양구 ... |
04 |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임상1상 IND 변... |
05 | 노을, 아시아 최초 베트남서 자궁경부암 AI ... |
06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글로벌... |
07 | 상장 제약바이오,고환율 직격탄..상반기 '환... |
08 | 미국, 백신 안전성 논의 본격화…제약사 주가... |
09 | [인터뷰] "한국 뷰티 기업, 유럽 진출 원한... |
10 | K-뷰티, 바이어 발굴이 최우선 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