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항 호르몬 치료의 효능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의 존재가 증명됐다.
이대여성암병원 문병인-안정신 교수 연구팀은 항 호르몬제와 장내공생균 ‘클랩시엘라’의 세포 밖 소포체가 함께 들어갔을 때 약물 효능이 두 배로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말로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유전정보를 말한다.
연구진은 정상군과 유방암환자 총 300여 명을 선별해 그들의 마이크로바이옴을 염기서열 분석으로 유방암 항호르몬제로 사용되는 약물 타목시펜(tamoxifen)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미생물을 찾았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몸속에 100조 개 이상 존재하는데 이중 95% 이상이 장에 살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장내 공생균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강화할 뿐 아니라 질병과도 관련이 높아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안 교수는 “유방암은 식습관,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장내 공생균의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면 유방암 예방과 치료 방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을 것”이라며 이 연구 결과는 "유방암 치료를 위한 보충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 내용은 SCI급 국제 학술 저널인 Medicine에 게재될 예정이며 이미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