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바이오 (대표이사 정재준) 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원장 이병권) 특성분석센터는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 기관은 보다 성공적인 치매 치료제 개발 연구를 위해 △전략적 공동연구추진 및 협력 △학술 및 기술정보 공동 활용 및 자문 △국책과제를 활용한 공동연구 △후속 연구개발을 위한 정보제공 및 상호 교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공동 연구 협약의 시발점은 아리바이오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공동 선행 연구의 성공적인 결과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아리바이오의 치매신약 AR1001이 혈관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해 뇌로 전달되는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KIST에서 보유중인 가속기질량분석법(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AMS)을 이용한 C-14 나노트레이싱(nanotracing) 기법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뇌의 여러 부위에 대한 약물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 AR1001은 투여 후 뇌에서 24시간 내에 최대 농도에 도달하며, 매일 투여를 했을 때 대뇌의 약물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확인됐다.
또한, AR1001이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에 대뇌피질 보다 약 3-4배정 도 높게 분포되는 것을 확인해, 손상된 기억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줬다.
양측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시작으로 뇌 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패혈증 및 바이러스 감염 합병증 치료제(AR1003)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에도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특성분석센터 유병용 박사는 “가속기를 활용한 C-14 나노 트레이싱 기술은 극 미량의 방사성 탄소, C-14를 약물에 표지하고, 이를 사용해 약물의 체내 거동을 살필 수 있는 혁신적인 분석기법으로서 기존 분석법보다 10³~10⁵배 정도 감도가 뛰어나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아리바이오와 함께 혈관뇌장벽때문에 측정하기 어려운 뇌 질환 관련 약물과 내인성 또는 유사 대사체로 인해 측정이 어려운 약물 개발에 동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아리바이오 정재준 대표는 “앞으로 KIST와의 연구협력을 통해 AR1001뿐만 아니라 차세대 퇴행성 뇌 질환 관련 파이프라인의 개발 및 감염 합병증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리바이오는 신약개발 전문회사로서 국내 제약사 중 글로벌 치매치료제 개발에 가장 앞서있다. 현재 치매 신약 AR1001로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탑라인 결과는 올해 말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