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위한 ‘T2B 기반구축센터 심포지엄' 개최
제품 개발 단계서 임상 인프라 중요성 강조
전세미 기자 jeons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6-17 19:11   

우수한 연구결과가 신약과 의료기기 등 실제 제품으로 원만히 구현될 수 있도록 임상 및 비임상개발 전문가 400여 명이 모여 임상인프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공유했다.

국내의 임상인프라 조성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질환별 T2B(Technology to Business) 기반구축센터 7곳이 출범 5주년을 기념해 14일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대강당에서 ‘의료기술 연구 성과물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임상인프라 활용’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연구 성과물을 제품으로 개발하려면 비임상 단계에서 예비 타당성 및 유효성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져야 하며, 기술이전·특허출원·제품화 등을 지원하는 임상인프라가 제대로 가동되어야 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최은경 서울아산병원 항암 T2B 기반구축센터장(방사선종양학과 교수)의 T2B 협의체 소개로 시작되었으며, 제약 및 바이오 분야 전문가들이 연자로 나서 ▲폐암 뇌전이 치료에 효과적인 3세대 EGFR 표적항암제 레이저티닙 ▲TNFα와 IL-6를 동시에 저해하는 자가면역질환용 이중항체 개발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서 ▲심혈관 및 말초혈관 치료용 의료기기 개발 전략 ▲초기 의약품 개발 시 비임상 유효성평가 시험의 중요성 ▲Nox 저해에 의한 황반변성 혁신신약 개발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현재와 미래 ▲치료용 의료기기의 개발 및 상용화 사례 강의가 이뤄졌다.

마무리로 이돈행 인하대병원 소화기질환 T2B 센터장이 ‘HT/BT 연구성과의 제품화 단절현상 해소 및 실용화 촉진을 위한 임상 인프라 활용 전략’을 주제로 심층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공동 심포지엄을 주관한 최은경 서울아산병원 항암 T2B 기반구축센터장은 “국내 연구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물이 의료기술로 원만히 구현되려면 기초연구와 임상을 잇는 중개연구와 더불어 기술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T2B 기반구축센터 협의체는 보건복지부·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2015년 8월부터 임상인프라 조성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7개의 질환별 T2B 기반구축센터가 각 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