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사 전용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인터엠디(intermd)가 16일 발표한 ‘2018년 대한민국 의사 직업만족도 조사(2018 Medical Doctor Career Satisfaction Index)’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의사50.8%가 현 직업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매우 만족한다고 답한 의사는7.6% 뿐이었다.
5년 후 직업만족도가 어떻게 변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의사의 55.6%가‘지금보다 더 떨어질 것 같다’고 가장 많이 답했으며, 비슷할 것이다(31.2%), 올라갈 것이다(13.2%)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어 의사 중 번아웃 증후군의 경험여부에 대한 질문에서는 조사대상 80.3%가 ‘경험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경험해 본 적이 없다’고 답한 의사는19.7%에 불과했다.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악화되는 의료환경이 46.9%로 가장 많았고,많은 환자 수(41.1%), 많은 행정업무(37.7%),야간 근무 및 공휴일 근무(36.4%), 긴 근무시간과 부족한 수면시간(31.7%), 환자의 과도한 요구사항(30.6%),퇴근 후 계속되는 업무(25.6%), 의료인력의 부족(25.0%), 매출압박에 대한 부담감(15.2%) 순이었다.
현재근무시간의 적정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의사가 52.3%로 가장 많았고, 많은 편이라고 느끼고 있는 의사는 40.9%,적은 편이라고 느끼는 의사는 6.8%였다. 또 현재 업무량이 적당하다고 느끼는 의사는47.6%로 가장 많았으며, 많은 편이라고 응답한 의사는 39.3%,적은 편이라고 응답한 의사는 13.1%로 집계됐다.
의료계 사회 문제로 꼽히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 기기 관련 규제에 관련한 의견조사도 눈에 띄었다.
디지털헬스케어 규제가 현재 수준에서 완화되지 말아야 한다고 응답한 회원은 과반 이상인 53.4%였으며,완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의사는 46.6%였다.
원격의료 허용에 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군부대,오지 등 특수한 상황에 대해서만 찬성하겠다고 응답한 의사가 과반 이상인 57.7%로 나타났으며,어떠한 상황에도 반대한다는 36.7%, 어떠한 상황에도 찬성한다는 5.6%로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12월 26,27일 일반의 및 25개 전문의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의료기관별로상급종합병원 240명(23.9%),종합병원 176명(17.5%), 일반병원 105명(10.5%), 의원 308명(30.7%), 요양병원26명(2.6%), 보건소 79명(7.9%), 기타 67명(6.7%)이 참여했다.
인터엠디 서비스운영실 오소희 실장은 “ 본인의 직업 만족도보다 환자의 삶 만족도를 생각하는 의사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조사결과였다“며 “다사다난했던 2018년 의료계였던 만큼 2019년은 보다 나은 의료 환경 속에서 의료인과 환자 모두 만족하는 해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01 | 네오이뮨텍, 유상증자 472억원 조달 성공…"... |
02 | 오토텍바이오, 퇴행성 타우 뇌질환 신약 ‘AT... |
03 | 부산시약사회, 의약품 토요 배송 휴무 실태... |
04 | 뉴라클제네틱스, 황반변성 신약 'NG101' 기... |
05 | 명인제약, CNS 경쟁력·펠렛 제형 앞세워 코... |
06 | 셀루메드, 피부이식재 '셀루덤 파워' 제조 ... |
07 | 뉴메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 볼리... |
08 | 케어젠,필러 의료기기 인도 CDSCO 등록 완료 |
09 |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케이캡' 결정형 분... |
10 | 동방에프티엘, ‘니르마트렐비르’ WHO PQ- W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