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경기도약사회관 전경 사진. ©경기도약사회경기도약사회(회장 박영달)가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에 우려를 표했다. 의료공백 상황에서 비대면 진료는 해답이 아니라고도 강조했다.
경기도약사회는 20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의료공백 속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선 '대체조제 사후통보 면제'와 '처방전 리필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약사회는 "환자들은 치료는 고사하고 당장 필요한 약을 처방받지 못해 병원을 찾아 헤매는 상황"이라며 "의료공백 사태가 이른 시일 내에 해결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의 근간마저 위태로울 만큼 현 사태가 심히 우려스러울 뿐"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의대 정원 확대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타협 없는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 전공의 파업에 이은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오는 25일로 예고된 가운데 정부는 이날 내년도 대학별 증원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
경기도약사회는 의정대치 속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몫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하는 것은 응급·중증환자 의료공백 해결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의료인의 의료현장 이탈문제는 응급환자와 중증질환 수술환자에 대한 의료인력 공급 불안정 문제가 사태의 본질이라는 것.
이에 경기도약사회는 환자 불편 해소와 안전 보장을 위해 의료공백 사태가 해결되는 시점까지 한시적으로 '대체조제 사후 통보를 면제'하고 '처방전 리필제를 시행'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경기도약사회는 "병원 이용에 따른 국민 불편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환자 진료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대안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는 지극히 효율적인 대책"이라며 "정부는 경기도약사회의 제안을 전향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어떠한 경우에도 국민이 피해를 입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할 것인 바, 정부는 현재의 의료공백 사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로 나서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