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간이송구급차 이용 응급실 내원 환자의 사망률이 높자 중증환자 이송체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특별시는 서울의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10일 ‘서울중증환자 공공이송센터(SMICU) 서울 4권역 확대 운영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운영 경과를 보고하고 전국화 방안을 논의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윤순영 중앙응급의료상황팀장은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선 대부분 민간이송을 통해 중증환자의 병원 간 이송이 이뤄지고 있으나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있다”며 “민간구급차 이용 환자의 경우 119 이용 환자나 도보 내원한 경우보다 중환자실 입원률 및 사망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개선 방안으로 △응급환자 이송업체 인증제 도입 △출동‧처치 기록 작성 의무 및 탑승 인력 기준 강화 △중증응급환자 전원 이송 중 이뤄진 진찰‧처치 등에 대한 건강보험 보상 검토를 제시했다.
이어 윤 팀장은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 인접 지역에 있는 병원으로 응급환자를 이송, 전원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각 광역별 이송 병원을 선정 및 전원 조정하는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겠다는 설명이다.
또한 항공-육상 중증응급이송체계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마련, 닥터헬기 확대 운영, MICU(내과계 중환자실) 도입 및 공공형 중증환자 이송체계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
서울특별시 이병철 보건의료정책과장은 “현재 인력 유지 및 개인 역량 강화와 이송품질향상을 통한 운영 효율화로 4대 권역 이송체계 안정화를 추진하겠다”며 “장기 목표로는 서울시 4권역 이송팀 동시 운영과 동남권역 24시간 365일 운영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서울중증환자 공공이송센터 노영선 교수에 따르면 2018~2022년 SMICU 이용 환자의 진단명은 폐렴, 출혈성 뇌졸중, 심정지‧PCAS, 패혈증, 급성심근경색이 다수였다. SMICU 도입 효과로 병원 내 사망률은 23% 감소했으며 응급실 내 사망률은 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 교수에 따르면 2021년 SMICU 2팀 확대 운용에 따라 중복 요청으로 이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줄었다. 2016년 19건, 2017년 53건, 2018년 83건, 2019년 91건, 2020년 54건, 2021년 9건, 지난해 2건으로 집계됐다.
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김태한 교수는 서남권역 출동 거점 SMICU 상시 운영을 위해 전문의 인력 확충을 주장했다.
그는 “SMICU 전담 전문의 채용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전담 인력을 채용해 응급센터 진료 병행과 기존 응급센터 근무 전문의와 근무를 교환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응급의료협력추진단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류현욱 응급의학교실 교수는 권역별로 전문화된 중증환자 병원 간 이송전담팀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류 교수는 “중증상병환자 중 11%가 타 진료권으로 전원한다”며 “전원을 위한 장시간 이동 과정에서 중증환자 상태 악화 위험이 있어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간 전원시 안전성을 보장할 필요 있다”고 강조했다.
01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02 | 제이피아이헬스케어,수요예측 경쟁률 942.71... |
03 | 릴리 경구 GLP-1 복용 72주 후 체중 12.4% ↓ |
04 |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 |
05 | 큐로셀, '안발셀' 성인 백혈병 임상1/2상 I... |
06 | 넥스모스, ‘압타민C’ 국제저널 ‘Frontiers i... |
07 | 원텍 ‘베인케어’, 브라질 의료기 인증 획득…... |
08 | 미국 FDA, 의약품 제조시설 건설 앞당기는 ... |
09 | 동아참메드, 휴피트와 지분투자 - 독점 판매... |
10 |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국가필수의약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