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PCR 제한적일 때 신속항원검사 권고”
보건의료연구원, 코로나19 의심 소아청소년 등 신속항원검사 세부 권고 고려사항 추가
김정일 기자 ji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5-06 06:00   수정 2022.05.06 06:01
소아청소년의 경우 PCR 시행이 제한적일 때 신속항원검사 시행이 권고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임상근거평가팀이 최근 공개한 ‘진단검사, 신속항원검사 권고문(2022.04 개정)’에는 코로나19 유행상황(바이러스 변이형)과 대상자(소아청소년)에 대한 세부 권고 고려사항이 추가됐다.

권고문에서는 코로나19 의심자에게 신속항원검사를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지만, 코로나19 유병률이 높아지고 PCR 시행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근거수준은 낮음, 권고등급은 C이다.

임상적 고려사항으로는 바이러스 변이형에 따라 진단 정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무증상인 경우 민감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 다만 오미크론 등 최근 나타나고 있는 변이형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또한 코로나19 의심 소아청소년에게도 신속항원검사를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지만 PCR을 시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증상이 있는 경우에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근거수준은 매우 낮음, 권고등급은 C였다.

임상적 고려사항은 무증상 소아청소년의 경우는 민감도가 낮아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며 신속항원감사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연구문헌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형에 대해서 보고한 문헌은 6편으로,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않은 경우 6개(5편), 유증상 대상 4개(3편), 무증상 3개(2편)이었다.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않은 대상에는 알파 2개(2편), 델타 3개(2편), 델타+오미크로 1개(1편), 델타 2개(1편)이었다. 국가별로는 아시아 2편(대만, 일본), 유럽 2편(프랑스, 독일), 미국 1편, 남아프리카공화국 1편이었다. 신속항원검사에는 COVID-19 Antigen Rapid Test kit, Panbio, Standard Q, BinaxNOW, QuickNavi로 다양한 검사 키트를 활용했다.

바이러스 변이형별 신속항원검사 진단 정확도

바이러스 변이형별로 신속항원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알파의 민감도는 0.696~0.764, 델타는 0.573~0.809, 델타+오미크론 0.615로 나타났다. 특이도는 변이형 간에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유증상자 대상 바이러스 변이혈별로 진단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알파는 0.829, 베타는 0.692, 델타는 0.737~0.883으로 나타났고, 특이도는 변이형 간에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무증상자 대상 바이러스 변이형별 진단 정확도에서는 알파 0.273, 델타 0.6~0.694로 나타났고, 특이도는 변이형 간에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않은 대상에게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한 결과, 통합 민감도 0.697(95% CI 0.625~0.761), 특이도 1.000(95% CI 0.988~0.999)로 나타났다.

진단 정확도를 통합해 분석한 결과, 유증상자의 민감도 0.792(95% CI 0.697~0.863), 특이도 0.997(95% CI 0.992~0.999)이었다. 무증상자의 민감도는 0.58(95% CI 0.403~0.739), 특이도는 0.999(95% CI 0.973~1)로 나타났다.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않은 대상 기준으로, 급성 전염병임을 감안해 유병률이 2022년 4월 기준 약 30%로, 현재 상황을 반영해 유병률이 낮아질 때를 적용해 검사의 유용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산출했다. 진단 정확도는 위와 동일하고, 유병률이 10%, 20%, 30%일 때 양성예측도는 0.946, 0.979, 0.986으로, 유병률이 높을수록 실제 질환이 있는 환자를 찾아낼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성예측도는 0.968, 0.929, 0.885로 유병률이 높아지면 음성예측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아청소년 대상 신속항원검사 진단 정확도

소아청소년를 대상으로 진단 정확도를 보고한 문헌은 8편으로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않은 문헌 5편, 유증상자 대상 5편, 무증상자 대상 2편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 대상 문헌에서 진단 정확도를 살펴본 결과, 민감도는 증상 유무를 구분하지 경우 0.625~0.824, 유증상자는 0.710~0.879, 무증상자는 0.273~0.433으로 나타났고, 증상 유무에 관계 없이 특이도는 1에 가깝게 나타났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