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불용재고약 반품 문제, 유통업체와 '해결방안' 찾는다
대한약사회 임원진, 지오영·백제약품 물류센터 방문…반품 법제화 논의
최재경 기자 cjk0304@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4-11 12:10   수정 2019.04.11 15:22

대한약사회 김대업 회장과 임원진이 의약품 유통업체와 상생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지오영과 백제약품 물류센터를 방문했다. 

대한약사회 김대업 회장과 부회장, 상임이사진 등 임직원 44명은  2개 그룹으로 나뉘어 10일 오후 약국 현장과 더불어 유통업계의 이해를 위해 백제약품 북부물류센터와 백제약품 파주 물류센터를 방문했다. 
 
방문단을 맞이한 조선혜 의약품유통협회장이자 지오영 회장은 인사말에서 “김대업 회장을 비롯한 새 집행부가 곳곳을 다니면서 어떻게든 약사회 발전과 회원들이 가야할 방향을 찾기 위해 열심히 일 하시는 것 같다”며 “약사회가 가고자 하는 길이 유통협회를 위하는 길이기도 한 만큼 같이 동조하고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조 회장은 “발전 방향 중 한 축이 되는 것이 반품문제로 지오영은 약사들의 고통을 어떻게든 함께 분담해야 한다 생각하고 전체 반품약의 45%를 소화, 600평에 반품약을 쌓아놓고 있다”며 “대한약사회 임원들이 물류창고 현장도 둘러보고 유통협회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이해해 주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이만조 지오영 물류본부장이 PT발표를 통해 지오영의 현황과 의약품유통협회가 공통으로 안고 있는 전성분표시제 시행의 문제점과 개선책, 난해한 제약사의 반품정책으로 인한 유통업체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반품에 대해서는 처리비용만 매년 평균 24%상승하고 있으며 2019년 현재 보관면적 600평, 처리 인원 21명이 투입돼 10억5400만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반품량과 관련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월평균 반품량은 약 35억원에서 40억원 수준으로 반품 이유는 정상반품, 폐업, 회수, 약가인하 등으로 구분됐다.

이중 상시소분반품은 월 1억 4000여만원으로 반품을 받아주는 제약사 80여 곳이 약 1억원 가량을 처리하지만 반품이 불가한 제약사의 반품약 9억4000여만원은 그대로 보관해야 한다.

매입처 반품은 월평균 약 12억2000여만원, 상시소분을 포함할 경우 12억6000여만원으로 매월 약 1억 8000만원의 불량재고가 증가하고 있어 연간 약 21억 6000만원이 증가되는 추세다.

현재는 600평 면적에 보유재고가 완포장 135억원, 상시소분이 26억원으로 약 160억원의 불량의약품이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오영 그룹 전체로 보면 240억원 가량이다.

김대업 회장은 “유통업체의 부담이 1년에 20억씩 늘어나는 것은 지오영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라며 “유통협회와 함께 해 반품 잘하는 곳, 적당한 곳, 아주 불량으로 나누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며 “상시소분반품을 받아주지 않는 40여곳의 제약사 명단을 알려달라”고 주문했다.

제약사별 다른 반품 조건도 제각각으로 △유효기간 3개월 미만 제품만 반품가능 △유효기간 6개월 미만 제품만 반품가능 △유효기간 초과 1년 경과시 30% 차감 △유효기간경과 제품만 반품가능 △유효기간 경과제품 50%차감 △반품시 20%차감 △매입 근거없는 제품 50%차감 등 다양해 약국에서 반품을 받아놓고 반품조건에 해당될 때까지 재고로 보관해야 하는 고충을 설명했다. 

김대업 대한약사회장은  “이번 유통업체 방문이 의약품 물류흐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는 의미도 있고 실제 유통 회사들이 갖고 있는 어려움을 이해한다는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며 "제약, 유통, 약국이 다 같이 노력해 불합리한 의약품의 관리체계에 대한 개선들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백제약품 물류센터에서도 불용재고약 반품 문제가 언급됐다. 실제 창고 한 곳에는 약국에서 들어온 불용의약품이 수백개상자 규모로 쌓여있었다. 

관계자에 따르면 "반품이 몰리는 연말에는 재고 규모가 100억원까지 늘어난다. 제약사별로 반품 처리 주기가 1개월부터 1년까지 다양해 제약사마다 맞춰 반품하는 것도 큰 업무"라며 "우리는 반품 전담 직원만 5명이 있는데도 늘 업무를 다 처리하지 못할 정도로 힘들다. 약사회와 공조해 반품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