藥-政, 90일 이상 장기처방약 '위험관리' 공감
약사회, 유관기관에 '장기처방약 분할조제' 정책제안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4-09 06:00   수정 2019.04.09 06:58
약사회가 주요 유관기관 첫 대면에서 '의약품 장기 처방·조제' 대책 필요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대업 집행부가 '상시적 위험관리' 대상으로 지목한 요소로, 발사르탄 사태보다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던 내용이다.

대한약사회 이광민 홍보이사는 지난 8일 브리핑에서 유관기관 방문 결과를 설명했다.

제39대 약사회 집행부는 올해 3월 12일 출범부터 지난 5일까지 약 한달간  주요 유관 단체·기관장과의 취임인사를 모두 마쳤다.

만남을 가진 장은 이명수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김용익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김승택 심사평가원장 등이다.

이광민 이사는 "첫 상견례 인사와 함께 그동안 미뤄져 있던 여러 약사회 정책 현안을 진솔하고 허심탄회하게 제안했다"며 "향후 적극적으로 상호 논의를 통해 실질적인 개선들을 이끌어 내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특히 이날 브리핑에서 강조된 정책제안은 '의약품 장기처방 위험관리 대책'으로, 약사회 정책제안과 유관기관 호응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 이사는 "3차 병원에서의 장기처방이 굉장히 늘어나 4~50%에 육박하고 있다"며 "조제 행태 관행상 포장용기를 개봉해 환자가 복용이 편리하도록 조제하는데, 심지어는 가루약 조제도 많아 장기 조제에 대한 의약품 관리·안전을 환자(국민)에게 전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관리상 약을 분실할 수도 있고 버려지는 사례도 많은 상황에서 장기처방 관리가 필요하다"며 "유관기관에 다양한 방안 중 약을 장기처방 받더라도 약국에서 분할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조제'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광민 이사는 "구체적인 방안은 앞으로 조금더 논의가 필요하지만, 장기처방 문제에 대해 (유관기관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김대업 대한약사회장은 대내외적으로 '상시적 위험관리'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김 회장은 3월 18일 열린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늘 있는 상시적 위험이 '발사르탄 사태'와 같은 돌발위험보다 1000배는 위험하다"면서 "대표적인 경우가 약을 갈아서 300일치를 조제하는 것으로, 처방을 300일까지 낼 수 있더라도 보름 이후부터는 분할하는 것이 맞다"고 언급했다.

김대업 회장은 "보건의료 정책이 상시적 위험을 줄여가는 노력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런 노력에 약사들이, 약사회가 함께 협의하고 싶다"며 "국회와 복지부에 이야기해 협의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김대업 집행부가 언급한 장기처방 외에도 △노인요양병원 가루약 조제 문제 △자가투여 주사제 오남용 문제 등도 '상시적 위험'으로 보고 대책마련을 제안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