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 반대' 1,660명 시민서명 복지부 전달
약준모-시민일동 서명…국가정책과제로 '공공심야약국' 제안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8-07 06:00   수정 2018.08.07 06:40
약사단체와 시민들이 타이레놀 편의점 즉각 판매 중단을 위한 서명을 복지부에 전달하고, '공공심야약국 국가정책 과제화'를 제안했다. 

약사의미래를준비하는모임(회장 임진형, 약준모)과 1,660명의 시민일동은 최근 보건복지부에 타이레놀500mg과 어린이 타이레놀 시럽의 편의점 판매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제안서 및 서명서를 전달했다.

임진형 회장은 "지난번 청와대 청원이 아무 고지없이 삭제되면서 약준모에서는 오픈페이지를 만들어 고함량 타이레놀과 어린이 타이레놀시럽의 퇴출, 그리고 공공심야약국 제도화를 위한 서명운동을 다시 받았다"며 "짧은 시간에 1,660명의 시민들이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서명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약준모와 시민일동은 "타이레놀은 간독성, 천식 등 중대한 위험성을 띄고 있어 미국에서 급성간경변 원인의 1위로 꼽히고 있음에도 술과 함께 버젓이 편의점에서 팔리고 있다"며 "현재 팔리고 있는 고함량 타이레놀(500mg)과 어린이 타이레놀 시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편의점 판매를 중단하고, 공공심야약국에서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발판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다.

약준모에 따르면, 국민편익분석에서 공공심야약국은 국가적인 비용이 들 수 있으나 시민들에게 훨씬 더 큰 이득이 있다.

또한 약사들이 십시 일반으로 기부금을 모아 운영하고 있는 공공심야약국이 전국에 7개(약준모 후원 약국), 지자체 지정된 곳이 26곳이고, 이마저도 정부·지자체의 무관심으로 문을 닫고 있다는 설명이다.

약준모와 시민일동은 "국민들의 심야 의약품 구입불편으로 편의점에 약을 팔자는 논의가 있으나, 보건과 복지를 고민하는 복지부가 공공심야약국 고민 없이 무조건 유통회사 입김만 대변하는 것은 잘못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약준모는 "지금 하루 주 60시간 일하고 있는 약사들이 부지기수로, 편의점 심야 아르바이트생도 구하기 어려워 문을 닫는 현 시점에 약사들에게 심야 12시까지 무상으로 노동하라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할 수 있는 얘기는 아니다"라며 "자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공공심야약국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정책을 실현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공공심야약국을 국가정책과제로 책정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안전한 의약품을 복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이들 단체는 공공심야약국을 1회 이용시 국민들은 2만원 상당의 비용적인 이익을 본다고 하는 연구(중앙대 서동철 교수)결과를 인용해 필요성을 설득하기도 했다.

약준모와 시민일동은 "정부가 공공심야약국을 지원하고 약사회가 이를 실현해 국민-약사-정부 모두에게 합리적인고 안전한 의약품 전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전한 의약품 구입-편리한 의약품 구입이 이뤄지도록 해달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