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점수 하나로 건강기능식품의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건기식 품질 및 개인 적합도를 정밀 분석, 그 결과를 점수로 환산해 보여주는 앱 서비스가 출시됐다.
기분 주식회사가 최근 출시한 기분 FIT 어플리케이션이 그것.
기분 FIT은 건강기능식품의 주요성분 함량, 제조사의 제조경력, 섭취자와의 적합도 등을 종합 분석해 건강기능식품의 점수를 산출한다.
점수만 확인하면 가장 질 좋고 나에게 딱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
품질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의 체질과 선호까지 점수에 반영된다는 측면에서 특히 관심을 받고 있다.
복잡한 판단 과정 한 방에 끝낸다
기분 FIT 어플리케이션은 건강기능식품 구매 과정서 겪게되는 소비자의 어려움을 해결했다는 점에서 호평받는다.
정량적이고 객관적 요소로만 정확히 품질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정보 ▲신뢰하기 어려운 정보 ▲해독하기 어려운 정보로 고민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 개인의 체질과 선호 정보를 반영하면 섭취자에게 최적화된 제품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평가 결과를 점수로 환산, 소비자들이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 백미로 꼽힌다.
건기식 구매 과정에서 소비자가 거쳐야 할 복잡한 판단 과정이 없어도 가장 질 좋고 나에게 딱 맞는 건기식을 한눈에 찾아낼 수 있는 셈이다.
8가지 필수 체크 사항 반영
기분 FIT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분 점수에는 건기식 구매 시 반드시 고려할 8가지 필수 체크 사항이 모두 녹아있다.
▲나에게 필요한 효능인지 ▲성분 함량이 높은지 ▲경험 많은 회사의 제품인지 ▲알레르기 성분이 있는지 ▲만성 질환자에게도 안전한지 ▲복용 중인 의약품과 상호작용은 없는지 ▲특이체질, 특수상황에서도 안전한지 ▲섭취 중인 제품이 있을 경우, 과량 섭취 위험은 없는지 등이 모두 체크된다.
건강기능식품의 품질과 함께 개인 적합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서비스인 만큼 사용자가 체질, 선호 정보를 꼼꼼히 입력하면 더욱 좋다.
개인 정보를 설정하면 기분 점수도 이에 맞춰 최적화된다. 그 때문에 같은 제품이라도 사용자별로 각각 다른 점수를 확인하게 된다.
상대평가 방식 특허출원 알고리즘
기분 점수는 주성분 함량 점수와 제조원 점수를 먼저 산출해 기초 점수를 내고 여기에 체질 점수와 선호 점수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주성분 함량 점수의 가장 큰 특징은 상대평가 방식이라는 것.
다른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함량인지, 고함량인지가 점수를 결정하는 판단 기준이다.
따라서 점수는 시점에 따라 계속 달라진다. 특정 시점에서 고득점이었다 하더라도 추후 고함량 제품이 많이 출시되면 점수는 떨어진다.
반대로 저함량 제품이 많아지면 점수는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후 성분 배합이 80% 이상 유사한 제품들을 선별해 유사 그룹을 도출한다.
이어 유사 그룹의 공통 성분에 가중치를 부여해 성분 함량 점수를 최종적으로 확정한다.
섭취 목적이 유사한 제품을 묶어 점수 산출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치.
기분 FIT의 건강기능식품 품질 평가 방식은 현재 특허 출원된 상태다.
제조사 부적합, 행정처분 정보까지 파악
제조사 점수는 제조사의 GMP 업력, 건강기능식품 생산 이력, 부적합 건수, 행정처분 건수 등을 파악해 산출된다.
GMP 업력이 오래될수록, 건강기능식품 생산 이력이 많을수록 높은 등급을 받게 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제조사 배점 또한 높아진다.
특이한 것은 제조사의 점수 역시 일정하게 고정된 수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사용자가 어떤 제품을 보고 있는지에 따라 제조사 점수는 달라진다.
유산균 제품을 전문으로 많이 만드는 제조업소의 경우, 유산균 제품과 연동된 제조사 점수가 높아지고, 비타민을 주로 만드는 제조업소는 비타민 제품과 연동된 제조사 점수가 높아지는 형식이다.
부적합과 행정처분 관련 정보는 직전 1년치를 적용한다.
4만 종 이상 제품 DB 구축
기분 FIT 제품 데이터베이스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4만종 이상 건강기능식품의 정보가 존재한다.
사실상 국산 건강기능식품 전수에 가까운 숫자.
기분 FIT 개발팀은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보고 정보를 바탕으로 이를 추출-분해-정제하여 점수 산출이 가능하도록 DB를 구축했다.
매일 업데이트 되는 품목제조보고 정보 역시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정제되어 DB에 적재된다.
국내에서 가장 정확하고 신선도 높은 건강기능식품 정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는 수입신고 정보를 기반으로 수입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 설계되고 있다.
가까운 시일 내에 국내 유통 중인 모든 건강기능식품의 데이터가 쌓일 것으로 확실시 된다.
건강기능식품이라면 어떤 제품이든 점수를 확인할 수 있는 시기가 멀지 않았다.
소비자 편익, 품질 향상 효과 기대
기분 FIT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구매와 관련한 소비자 편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장기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질적 향상도 기대된다.
보험상품 온라인 비교 공시 도입과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간 정보 불균형 해소가 전반적 산업 발전으로 이어진 사례를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기분 FIT 역시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정보 불균형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어 긍정적인 외부 효과가 기대된다.
01 | [추모의 글] 약수(若水) 백우현(白于玹) 박... |
02 | 부광약품, 전년동기비 26.75%↑상반기 매출 9... |
03 | 이니바이오,보툴리눔 톡신 ‘이니보’ 중남미 ... |
04 | [주목 이 제품] 햇빛화상치료제 ‘리큐번크림... |
05 | 지에프씨생명, 대만 리러브와 전략 제휴…엑... |
06 | 지아이이노베이션-에임드바이오, GI-102 교... |
07 | 아이티켐, 상장 통해 글로벌 'Top-Tier' CDM... |
08 | '화장품의 날' 법정 기념일 첫해 … "100년... |
09 | 셀루메드, AI 기술 활용해 펩타이드 기반 차... |
10 | 윤동한 회장, 콜마홀딩스에 절차상 문제 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