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300여개의 역대급 약가인하가 이뤄지면서 약국가와 유통업계, 제약업계 신경전이 심화하고 있다. 다수 품목 약가가 제각각 인하되면서 업계 부담으로 이어지자 불만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크고 작은 약가인하마다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약업계 지적이다.
약국가에선 약가인하로 인해 손해가 불가피하다고 토로한다. 대규모 약가인하가 발생했지만 약국에선 업무과부하로 제대로 정산을 하기보다는 대략적인 수치로 어림잡아 추산할 수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약국의 손해로 이어진다는 것.
또 낱알반품 문제나 다빈도의약품을 비롯해 품목재고 정산률 등은 금액 문제일뿐 결국 약국의 손해가 불가피한 구조라는 주장이다. 이런 과정을 매번 약가인하 때마다 겪어야 하기 때문에 유통업계 혹은 제약사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인천의 A약사는 “오랫동안 유예됐던 약가인하를 제약사와 유통업체 모두 임박해서야 대응했다는 사실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일주일도 안돼 모든 품목을 직접 체크하면서 업무부담이 대단했는데 1인약국은 더욱 어려웠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제약사와 유통사간 문제지만 결과적으로 크고 작은 손해는 매번 약국에서 감당하고 있는 만큼 현장 상황에 맞춘 대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유통업계에서도 광범위한 약가인하로 불필요한 업무가 과중된다고 전했다. 전국 2만3000여개 약국에서 7300여개 품목 약가 정산을 위해 추가 업무가 발생, 인력과 비용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것.
또 약국과 정산과정에서 시기나 방법을 두고 일부 마찰이 발생했던 만큼, 제약사의 약가인하가 오히려 약국, 도매간 오해로 작용하면서 억울하다는 주장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약가인하는 도매업체가 아닌 제약사의 문제로 유통업체의 고유업무영역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지금처럼 대규모 약가인하에는 인력과 시간이 적지 않게 투입돼야 하는데 유통업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수료가 줄면서 마진율도 줄어드는 상황에서 제약사의 미숙한 대응으로 발생한 약가인하를 전적으로 유통사라는 이유로 우리가 책임지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물론 당사자인 제약업계에서도 억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약가제도의 개편으로 과도한 제네릭 정책이 시행되면서 최소 15%에서 최대 27.75%까지 약가가 인하돼 매출피해가 불가피하다는 게 제약업계 얘기다.
자체 생동 여부에 약가가 연동되는 것은 제네릭 경쟁력과는 관계가 없는 불합리한 정책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 제약사들은 유통업계가 유통을 담당해왔던 만큼, 약가정산 등 과정도 책임감 있게 맡아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약사가 약국과의 거래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아 직접 정산은 불가능하다는 게 제약업계 입장이다.
제약사 한 관계자는 “국내 의약품 유통시스템 특성상 약가가 인하되면 기 출고분의 직접 정산은 제약업계에서 불가능하다”면서 “유통업계에서도 수수료를 가져가는 만큼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사안은 책임감있게 담당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1 | 다원메닥스,2026년 코스닥 상장 재도전...중... |
02 | 아이센스, 영국 연속혈당측정기 시장 진출 |
03 | 동성제약,나원균 사내이사 '유지'- 이양구 ... |
04 |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임상1상 IND 변... |
05 | 노을, 아시아 최초 베트남서 자궁경부암 AI ... |
06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글로벌... |
07 | 상장 제약바이오,고환율 직격탄..상반기 '환... |
08 | 미국, 백신 안전성 논의 본격화…제약사 주가... |
09 | [인터뷰] "한국 뷰티 기업, 유럽 진출 원한... |
10 | K-뷰티, 바이어 발굴이 최우선 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