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적정 용량’으로 최대한 빨리 사용할 것”
혈당조절 실패로 입원율‧조절률↑…저혈당이 치료 지속 관건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11-27 16:22   수정 2019.11.27 16:25
당뇨를 조기에 잡기 위해선 인슐린을 최대한 빨리 사용하도록 권유하되, 저혈당으로 인한 치료 중단이 없도록 개별화된 ‘적정 용량’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권혁상 교수는 27일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투제오 미디어 세미나에서 ‘인슐린 치료의 단계별 여정’을 주제로 발표했다.

권 교수는 “대한당뇨병학회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목표를 6.5% 미만으로, 미국에서는 7% 미만을 권고하고 있다”며 “최근 경구 당뇨병 4제 병합요법까지 개발됐으며, 인슐린도 GLP-1 RA 초속효성인슐린, 혼합형인슐린과 같이 강화인슐린 요법 등 안전하고 효과 높은 치료제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 65세 이상 성인 10명 중 3명이 당뇨병을 갖고 있었고, 이 중 절반을 조금 넘는 경우만 치료를 받고 있으며 4명 중 1명만이 당화혈색소 6.5% 미만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치료율‧조절률이 모두 낮은 상황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에 따르면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당뇨병으로 인한 국내 입원 및 사망률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입원율은 평균 대비 2배가 넘었고 전체 사망률 역시 36개 국가 중 6위를 차지했다.

권 교수는 “국내 환자들은 당뇨병 진단 후 인슐린 치료를 받기까지 약 10년 가까운 시간이 걸리고 당화혈색소 평균 9.2%가 돼서야 인슐린 처방을 시작했다”며 “이미 진단 시점에 인슐린 분비 기능은 50% 이하로 감소해있고, 6년 후에는 25%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베타세포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선 조기 인슐린 요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국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슐린 글라진 등을 진단 초기부터 치료받은 인슐린 집중 치료 환자군에서 장기간 혈당 조절 및 췌장 베타세포 기능보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됐다. 

그렇다면 왜 환자들의 인슐린 치료는 늦춰지고 있는 걸까.

DIPP-FACTOR 연구 결과, 환자들의 인슐린 치료 지연 이유로 △불편감 △인슐린 치료를 평생 유지해야 할 지에 대한 두려움, 무엇보다 저혈당에 대한 공포감을 가장 큰 치료 장애로 꼽았다.

권 교수는 “실제 임상에서 환자들은 인슐린 투여를 최대한 미루고 싶어 한다. 특히 저혈당 경험이 있거나 주변에서 겪은 얘기를 접한 사람일 수록 두려움이 커 치료를 미루게 된다”며 “성공적인 인슐린 치료 여정을 위해서는 치료 시작 시 환자 개별 상태에 맞는 ‘용량 적정(Titration)’이 핵심요소이다”고 언급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 50% 이상이 1번 이상의 무증상 저혈당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시작 후 3개월까지의 치료 반응 및 저혈당 발생 여부는 장기간의 혈당 조절 및 저혈당 발생 위험과도 연관된다.

권 교수는 “상당수의 환자가 불충분한 용량 적정수준으로 인해 인슐린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5단위만 올려도 두려움이 크기 때문”이라며 “12주 이내에 개별 상태에 맞는 적절한 용량을 찾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인슐린 제제, 환자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용량을 올리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뇨는 조기에 약물과 생활요법 등으로 관해 시켜야 한다. 인슐린을 써야 할 정도라면 최대한 빨리 사용해야 예후가 좋아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해야 한다”며 “경구제의 효과가 날로 좋아지고 있지만, 아직은 인슐린이 당뇨 조절에 가장 확실한 방법인 만큼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