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가 염증성질환 분야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2개 신약후보물질 글로벌 임상에 돌입한다.
보로노이는 자체 개발한 신약후보물질 DYRK1A 억제제와 RIPK1 억제제가 내년 상반기중 글로벌 임상 1상을 시작한다는 계획을 최근 미국 아틀란타에서 열린 전미류머티즘학회(ACR)에서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염증성질환 경우 현재 류머티즘치료제 ‘휴미라’처럼 주사 치료용 항체 의약품이 수십조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2018년 기준 상위 3개 의약품 40조원).
하지만 주사제에 대한 환자들의 거부감과 함께 항체치료제를 장기간 이용할 경우 이에 대한 중화항체로 인해 약효가 떨어지는 현상(Anti-drug antibody 현상)이 약점으로 지목돼 왔다. 이에 최근에는 ‘토파시티닙’처럼 알약으로 먹는 경구용 표적치료제가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보로노이 개발 염증성 질환 치료제는 모두 경구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염증질환 치료제 타깃 트렌드는, 항체 치료제는 TNF-a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고 경구용 치료제는 JAK 치료제가 다수이나 골수억제, 폐색전증, 대상포진 등 상당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보로노이가 타깃으로 하는 DYRK1A와 RIPK1 분야에서는 기존에 시판이 허가된 치료제가 없는데다, JAK과는 기전이 달라 해당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기대되는 ‘First-in-class’ 신약물질이다.
현재 DYRK1A 타깃 치료제로 미국 사무메드가 골관절염을 적응증으로 임상 3상을 진행중이지만 관절강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경구용인 보로노이 후보물질과는 투여경로와 치료 적응증 분야(류머티즘관절염, 염증성장질환(IBD), 아토피 피부염, 건선, 루푸스 등)가 완전히 다르며, 연내 캐나다에 임상시험 허가 신청을 낸 후 내년 상반기 임상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RIPK1 경우 GSK가 건선, 염증성장질환 등 치료제 임상 2상을, 사노피가 비슷한 질환으로 임상 1상을, 드날리가 알츠하이머질환 등에서 임상 1상을 진행중이다. 내년중 보로노이는 세계 세번째로 자가면역 질환 및 폐섬유화 질환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을 시작하게 된다. 보로노이는 자사 개발 RIPK1 억제제가 기존 경쟁약물과 기전이 구조적으로 달라, 약효가 더 좋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는 “ 국내 임상이 시작된 뇌암(고형암) 치료제에 이어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염증성 질환에서 내년 상반기에 임상이 시작된다”며 “ 지난달 미국암학회(AACR)에서 큰 주목을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도 전임상이 마무리 단계여서 보로노이 파이프라인 기술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보로노이는 해당 물질들에 대하여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보로노이는 저분자 화합물 기반 Kinase 저해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회사로 설립 2년째인 2017년 3개의 파이프라인 개발을 시작으로 최근 9개까지 파이프라인이 증가했고, 현재 글로벌 제약사와 20여 곳과 파이프라인에 대한 L/O를 진행하고 있다.
01 | 펩트론,표적항암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기술... |
02 | 심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비젠프... |
03 |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창립 38주년 "지속 투자... |
04 | 제6회 희귀유전질환 심포지엄, 벡스코 개막…... |
05 | 정부·기관·기업 합심해 미국 관세 파고 넘는다 |
06 | 동화약품, 2025 가송 예술상 시상식... 김미... |
07 | 국민 10명 중 9명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 |
08 | 현대바이오USA, 미국 MCDC 정회원 공식 승인 |
09 | 닥터그루트, 북미 코스트코 682개 매장 입점 |
10 | 제이엘케이, 뇌경색 중증도 AI 자동 분석 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