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제약,예산 新생산단지 날개 달고 글로벌시장 '훨~훨'
1600억 투자 cGMP EUGMP 하드웨어 확보-자동제어시스템 '스마트공장'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4-11 06:00   수정 2019.04.11 15:05

 


보령제약 성장에 중추 역할을 담당할 충남 예산 新생산단지가 지난 2017년 3월 착공된 지 2년 만에 준공됐다.

약 14만 5,097㎡규모 부지에 1,600억원을 투자해 글로벌 수준(cGMP, EUGMP) 하드웨어 및 품질을 확보한 보령제약 예산 신생산단지는 보령제약 글로벌 진출 핵심시설이다.해외 발매국이 확대되고 있는 '카나브패밀리' 글로벌화는 물론, 전문화된 항암제 생산시설을 바탕으로 항암제분야 국내/외 경쟁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명실상부한 글로벌기업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보령제약은 카나브패밀리가 중남미 동남아 러시아 등에서 발매 후 처방량확대에 맞춰 원활한 공급이 이뤄지는 것을 넘어 현재 라이선스아웃 계약이 이뤄진 51개국 이외 국가 진출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현재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겸 표적항암제 ‘BR2002(개발명)‘와 자회사 바이젠셀에서 개발중인 면역세포치료제 'VT-EBV-201’(개발명)의 대규모 생산시설을 갖춤으로써 신약개발 후 해외진출 등 기반을 모두 갖췄다.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약 2만8,551㎡ 규모로 고형제 항암주사제 시설이 들어서는 예산 신공장단지는  생산, 포장에서 배송까지 원스탑 일괄체계로 구축됐으며, 전자동화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팩토리다. 자체 통신 기능이 탑재된 설비들에 권한을 위임해, 스스로 작동하는 제조환경을 구축했다.

또 공장 내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들은 생산관리시스템(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과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등 생산 경영분야 시스템과 연동되고, 공장상황에 맞게 최적화돼 운영된다.

특히 생산라인 모듈화를 구축해 생산 효율성도 높였다. 고정된 생산라인을 운영하면 다양한 제품 생산을 위해 새 라인을 새로 구축해야 되는 등 생산비용이 높아질 수 밖에 없지만, 모듈조립이 가능해지면 생산 라인에 유연성이 생겨 역동적으로 재조립이 가능해진다. 때문에 몇 분만에 생산모듈 순서 및 다른 제품 생산모듈로 교체함으로써 생산량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예산 신생산단지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해 규모면에서 내용고형제 8억 7천만정, 항암주사제 600만 바이알(Vial), 물류 4,000셀(cells)을 생산할 수 있고,물류 처리능력도 기존 안산공장 보다 약 3배 증대됐다.

여기에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건설돼 고형제 5배, 항암제 3배, 타 제형 생산시설 추가가 가능해 향후 가동률을 더욱 높였다.

보령제약 관계자는 " 대전~당진 간 고속도로 예산수덕사 나들목 인근에 위치해 있고 당진항 및 평택항 등과 인접해 물류 여건이 유리하고, 충남도청 이전 완료에 따라 인구 10만 명을 수용하는 내포 신도시에 인접한 만큼 각종 산업 단지 및 농공 단지와 연계한 산업 클러스터 구축도 용이하다"며 "예산지역 일자리 창출은 물론, 인구 증가, 지방세수 증대 등 지역 경제 활성화도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창업 후 보령제약은 신공장 건설에 맞춰 큰 폭의 성장을 이뤄왔다. 1967년 성수동 공장에서 생산한 용각산을 시작으로 성장 디딤돌을 마련하고, 1970~19880년대 안양공장에서 겔포스를 통해 국내  대표 제약사로 성장했다. 1990년 이후 안산공장에서 카나브를 통해 글로벌기업 도약기반을 마련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