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그룹 서정진 회장이 '램시마SC'를 적극 육성시켜 글로벌 바이오제약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서정진 회장은 4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연 '2019년 사업 및 카메팅 전략' 미디어간담회에서 " 글로벌 톱 바이오제약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항체 바이오의약품과 에이즈치료제 등 케미컬의약품 전략제품을 양 날개로 삼아 1,400조원 규모에 이르는 세계 제약 시장을 공략할 계획으로, 지난해 9부 능선을 넘어 올해 정상을 향한 마지막 도약을 앞두고 있다”고 말했다.
서 회장에 따르면 바이오시밀러 경우, 2030년까지 약 20여개 자가면역질환과 항암 분야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미국에서 램시마·트룩시마·허쥬마 등 바이오시밀러 3종 허가를 받은 데 이어, 올해 강력한 전략제품인 램시마SC 유럽 허가를 앞두고 있다.
또 케미컬의약품 사업 부문은 셀트리온제약 청주공장이 미국 FDA cGMP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유럽 규제기관 실사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서 회장은 특히 '듀얼포메이션'(Dual Formation, 동일 물질을 정맥주사제형 및 피하주사 제형화) 강점을 가진 램시마SC 허가가 글로벌 바이오제약기업으로 도약케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 램시마는 TNF-α억제제 가운데 정맥주사 제형과 피하주사 제형을 동시에 갖춘 유일한 바이오의약품으로, 동일한 인플릭시맙 성분으로 빠른 효과(정맥주사)와 빠른 투약(피하주사)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 분야의 혁신 제품”이라며 “램시마SC 특허출원 등록이 완료되면, 2037년까지 특허권을 보호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경쟁 TNF-α억제제인 휴미라와 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 출시가 예상되는 2023년, 2029년까지 오리지널의약품과 단독 경쟁이 가능한 만큼 전세계 매출 1위 블록버스터 의약품인 휴미라와 경쟁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또 "올해 램시마의 피하주사 제형 램시마SC 유럽허가를 계기로 직접유통 및 마케팅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TNF-α억제제 시장을 공략해 나가겠다"며 “ 네덜란드 주재원 직책으로 직접 세계 영업현장을 누비며 해외 제약영업에 나서 보았는데, 직접 유통이 가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으며, 본격적으로 직판 시스템 구축에 나서려고 한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