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정원 증원 대안으로 한의대 활용하자" 의대교수 주장
한의협 명예회장단 성명서 내고 엄중항의, 한의계 반발 확대
이종운 기자 news@yakup.co.kr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3-25 11:40   수정 2024.04.01 11:00

의대정원 2000명 증원의 대안으로 한의과대학을 폐지하고, 그 정원을 의대 증원에 활용하자는 의대 교수의 주장이 일부 언론을 통해 발표된 이후  이에 반대하는 한의계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박은철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 15일 모 일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의과학과·한의대 정원을 활용하면 의대 정원 2000명을 늘리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하고 “인구 고령화를 고려할 때 2040년까지 1만명의 의사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정부가 의대 정원을 한꺼번에 65% 확대하면 의학 교육의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상당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한의대 중에서 의대 전환을 원하는 데가 많으니 이를 활용하자며  12개 한의대 750명 정원 중 경희대·부산대·원광대·동국대 등 의대·한의대를 함께 둔 5개 대학의 정원 350명을 먼저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같은 보도가 나온 직후 국민건강 및 민족의학발전 연합회(국민연)가 지난 18일 성명서를 통해 박 교수를 강하게 비판한 데 이어 25일에는 대한한의사협회 명예회장단이 성명서를 내고 박 교수의 발언에 “정상적인 학자로서는 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연은 18일자 성명을 통해 “(박 교수는) 지금 세계적으로 서양의학계가 한계점에 도달해 동양의학에서 대안을 찾고 있는 현실을 전혀 모르고 예방의학 교실에만 안주하고 있었던 모양이다”라면서 “박 교수 같은 사람이 윤석열 대통령 대선 캠프에서 의료정책의 밑그림을 그렸다고 하니 앞으로 일어날 수 있을  한·양방 갈등이 심히 걱정되고 분노가 일어난다”고 밝혔다.
 

한의협 명예회장단은 25일자 성명을 통해 “우리민족과 역사를 함께한 한의학을 의대 증원의 명분으로 없애버리자는 말은 정상적인 학자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주장이고 더구나 그는 집권여당의 의료정책위원의 신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의 경우 명치유신 때 한의학을 과학화 한다는 명분을 내새워 의료일원화를 실시했고 그 이후 일본의 한의학은 없어져 버렸다”면서 “의과대학의 입학정원을 늘리는데 왜 한의과 대학을 없애자는 것인가? 의대증원의 핑계로 눈엣가시 같은 한의학과 한의사제도를 없애 버리자는 것 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 “특히 집권여당의 의료정책위원이고 더구나 의대교수의 신분이라면 자기가 전공한 예방의학이나 열심히 하면 될 것이고, 의료정책 면에서는 한국의료체계의 큰 장점인 한·양방 의료이원화 정책을 발전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전혀 모르는 한의사제도에 칼질을 하여 한의과대학과 한의사제도를 없애려고 하니 기가 막힐 뿐”이라고 덧붙였다.
 

뒤이어 한의과대 학생들도 박 교수의 발언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생회장 당선인(박건희) 도 최근 실시한 한의대생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약 80%이상이 한의대정원의 의대전환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한의대정원의 의대전환을 주장한 박 교수에게 해당발언의  정정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논란의 중심이 된 박 교수는 2022년 대선 때 윤석열 후보 선거대책본부 보건바이오의료분과 위원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 자문위원을 지냈다. 지난해 11월부터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지역필수의료혁신TF 민간위원을 맡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