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명 추산’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 의료비 '한숨' 던다
복지부, 30차 건정심서 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리기기 지원 확대 의결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2-29 06:00   수정 2023.12.29 06:01
박민수 제2차관(왼쪽에서 두번째)이 28일 열린 30차 건정심에서 위원들과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내년 3월부터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의료비가 경감된다. 약 3000명의 소아 당뇨 환자들이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제3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정밀 인슐린펌프 등 당뇨관리기기 구입 지원 확대에 대해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건정심은 이번 회의에서 매일 인슐린 사용이 필요하지만, 스스로 혈당 관리가 어려운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의 어려움을 고려해 저혈당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정밀 인슐린자동주입기(인슐린펌프) 지원 확대를 논의했다.

건정심에선 당뇨관리기기를 기능별 세분화하고 급여 기준액을 신설, 본인부담률을 낮춰 380만원이 넘게 들던 경제적 부담을 45만원 수준으로 경감하도록 의결했다.

정밀 인슐린 펌프 구성품인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를 각각 기능별 세분화하고, 해당 구성품의 급여 기준액을 신설‧증액키로 한 것. 특히 구성품 중 인슐린펌프와 전극은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본인부담률을 기존 30%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인슐린펌프의 기준액은 센서 연동형 250만원, 복합폐쇄회로형 450만원 등이 신설됐다. 전극은 센서 연동형, 복합폐쇄회로형이 1만1000원/1일, 소모성재료는 복합폐쇄회로형 4500원/1일의 기준액이 신설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정밀 당뇨관리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그간 인슐린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1형 당뇨환자 특성상 저혈당 위험으로 불안했던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의 보호자는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정밀 인슐린펌‧전극‧모성 재료 세분화 및 기준액 신설. ⓒ보건복지부

한편 소아‧청소년 1형 당뇨로 고통받는 환자는 국내외에서 점차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세계 소아‧청소년 1형 당뇨 환자가 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은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여러나라의 연구 데이터 42개를 수집한 결과, 3만8000명이 넘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의 1형 당뇨 진단 건수는 팬데믹 이전부터 매년 3%씩 증가해왔으나,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에는 전년대비 14%, 2021년에는 전년보다 72% 크게 증가했다.

국내에선 소아‧청소년 1형 당뇨환자가 전체 1형 당뇨환자 3만명의 10%인 3000명 정도로 추산된다. 1형당뇨환우회 김미영 대표는 “1형당뇨는 평생 완치되지 않고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관리가 쉽지 않다”며 “이전에는1년에 1500번 이상 인슐린을 주사하고, 4000번 가까이 혈당 체크를 해야 했기 때문에 아이의 부모는 잠도 제대로 자지 못했다”고 밝혀 1형당뇨를 앓는 어린 환자들의 고충을 짐작케 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