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정지, 2006년 이후 最多…생존율, 코로나19 이전보다 감소
질병청 ‘2021년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분석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1-06 06:00   수정 2023.01.06 06:00
△급성심장정지 환자 뇌기능회복률 추이(출처: 질병관리청).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이 15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반면 생존율과 뇌기능회복율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회복률을 높이고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품질을 높이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주간 건강과질병에 공개한 ‘2021년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급성심장정지는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 기능이 갑자기 정지돼 신체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반면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더라고 목격자의 빠른 신고와 심폐소생술 시행, 119구급대의 응급조치 및 이동, 의료기관의 치료 등이 통합적으로 적절히 시행될 경우 환자를 살리고 후유증 없이 회복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매년 급성심장정지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 및 발생 후 처치, 치료 결과를 조사하고 예방 및 치료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소방청 통계연보에 따르면 119구급대는 1년간 31만명의 코로나19 확진자를 포함해 182만명의 환자를 이송했으며, 그 중 급성심장정지로 이송된 환자는 3만32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급성심장정지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최고 수준이며,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64.7명이다. 

성별로는 남자가 82.4명, 여자가 47.2명으로 매년 남자 환자의 발생률이 여자의 1.7~1.9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전체 환자 중 70대 이상이 53.3%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한 지역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시‧도는 7638명을 기록한 경기도였으며,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기준으로는 제주가 101.8명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발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이었으며, 광주와 서울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확인됐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의무기록조사가 완료된 3만3041명 중 생존자는 7.3%인 2410명으로, 이는 2020년 7.5%와 유사한 반면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8.7%에 비해서는 감소한 수준이었다. 도별로는 서울이 10.1%로 가장 높았고, 세종‧인천이 그 뒤를 이은 반면 울산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은 11.6%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미시행한 경우에는 절반 수준인 5.3%를 나타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매년 증가 경향을 보인 결과 2021년에는 28.8%를 기록했다. 

시행률이 가장 높은 시도는 44.0%를 기록한 서울이었고, 이어 세종, 경기, 대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행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으로 서울과 30%p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지역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증가했지만, 강원, 전남, 경남, 제주에서는 2020년보다 감소했다. 뇌기능회복률은 4.4%로 생존율과 마찬가지로 2019년에 비해 감소했다.  

이에 대해 질병청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오는 2030년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목표를 37%로 설정했다며, 매년 2%p 내외의 증가율을 유지할 경우 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질병청 건강위해대응관 권상희 손상예방관리과장은 보고서에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지속 상승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시행과 미시행 환자 간 생존율 차이가 감소하고 있다”며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높아지지 않은 점, 여전히 지역격차가 상당한 점 등은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