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불안정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조제용 감기약(아세트아미노펜제제 650밀리그램)’에 관해 지속적인 증산이 이뤄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제약업계와 협력을 통해 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
문은희 의약품정책과 과장은 지난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 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아세트아미노펜제제 증산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내용과 같이 꾸준한 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국민겅강보험공단은 한시적으로 18개 제약사의 아세트아미노펜 650밀리그램 18개 품목의 약가를 20원 인상한다고 의결한 바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약가 인상을 통해 아세트아미노펜 월평균 공급량은 기존 4500만 정에서 최대 6760만 정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문은희 과장은 “아세트아미노펜 약가 인상은 생산량과 연동해 이뤄진 사항으로, 생산하는 물량에 따라 약가가 정해졌다”며 “업체로부터 구체적인 월별 생산 계획을 모두 받아 논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타 업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제조사들의 경우 위탁 제조 품목에 대한 생산 계획까지 모두 세워 논 상태”라며 “다른 의약품 생산 일정까지 다 조정하면서 이번 아세트아미노펜 증산 계획을 확장한 만큼, 식약처도 업체들을 만나 여러 차례 확인을 마쳤다”며 추가적인 증산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일축했다.
아울러 문 과장은 제약업계와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아세트아미노펜 증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과장의 설명에 따르면, 기존 아세트아미노펜제제 생산을 타 업체에 위탁해 생산을 하던 한미약품과 종근당이 자체 생산에 들어선다. 이와 더불어 아세트아미노펜제제 품목을 보유한 업체들에게는 생산 및 수입명령 또한 내려진 상태다.
문 과장은 “생산ㆍ수입명령은 형식적인 표현일 뿐, 제약사에서 생산 계획을 제출한 것”이라며 “만일 제약사에서 제출한 계획대로 제품 생산이 어렵다고 판단하면 식약처와 논의하기로 되어 있는데, 현재까지는 그 어떤 의견도 들어와 있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아세트아미노펜제제 생산량 증가 폭에 관해서는 “서방정의 경우 생성 공정 특성상 주별 생산량이 들쭉날쭉하다”며 “월별로 생산량을 집계해야 하는데, 12월이 지나면 11월 생산 물량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울러 각 제조사별 아세트아미노펜 원료 공급처를 추가로 확인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파악한 내용으로는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생산되는 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만일 중국 제조원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인도제조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식약처는 각 제조사별 원료 재고 현황도 함께 파악 중에 있다.
다만 아직까지 약국가 현장에서는 제조용 아세트아미노펜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대해 문 과장은 “증산 계획이 일선 약국에서 체감되기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이라며 “원하는 제품을 바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만큼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 과장은 오리지널 의약품 등 일부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집중되는 현상에 관해 의료인과 약국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의료 전문가의 협조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 의약품을 처방하는 의료 전문가들과 약국의 약사들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