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예정 백신 1억4,190만회분…폐기 최소화한다
중대본 “해외공여‧제약사와 공급일정 조정 통해 활용도 제고할 것”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5-06 16:52   
 
올해 연말까지 도입이 예정된 코로나19 백신 물량이 1억4,000만회분이 넘는 가운데, 정부가 백신 폐기 규모를 최소화하는 한편 백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6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코로나19 백신도입 경과 및 향후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양동교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백신관리반장은 “그동안 정부는 백신 개발 여부 및 효능에 대한 불확실성,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에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1억9,600만회분과 올해 계약한 9,000만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해 국내 예방접종을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 이후에도 많은 물량이 도입될 예정인 만큼 백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부터 코로나19 백신 TF를 구성해 국내 예방접종에 활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백신에 대해서는 해외 공여, 제약사와 공급일정 조정 등을 통해 백신 활용도를 제고하고 폐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 

양동교 반장은 “백신 공여 가능의 경우 외교부를 중심으로 한 외교 채널을 통해 다양한 해외 국가들의 백신 수요를 파악하고 있고, 의향이 있는 국가들과 구체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협의가 구체화되면 상세히 안내드릴 예정”이라고 전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백신 공급계약은 수량이 확정돼 있고, 여러 가지 불확실성에 따른 변수를 고려할 요인이 상당히 많다”며 “하반기에 만약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서 예방접종을 우회하기 시작한다면 백신 제조사들도 변이에 적합한 예방접종으로 백신을 개량할 것이고 그에 따라 공급받도록 돼 있기 때문에, 이같은 가능성을 대비한 전국민 접종 물량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이러한 변이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현재 공급되기도 확정된 백신의 여유분이 필요량보다 상당히 많은 상황”이라면서도 “상황적 가변성을 고려하면서 현재 백신 공급 회사들과 계약 일정 등을 조정하고, 세계적으로 공여 가능한 집단 및 국가들과 협상을 동시다발적으로 전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