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인의 인식 변화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방역을 위해 일상을 포기할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 관련 확진자의 동선을 모두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과반수가 넘는 63.2%가 동의했다.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현곤)은 미래전략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를 적시 제공하는 브리프형 보고서인 ‘국가미래전략 Insight’ 제12호(표제: 코로나19와 함께한 1년: 국민의 삶은 어떻게 변했는가?)를 18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
저자인 허종호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변화를 △일자리 및 소득의 변화 △가족관계의 변화 △방역 관련 가치 인식과 실천의 변화 △건강의 변화로 나눠 살펴봤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 중심의 피해가 적지 않은 점과,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될 경우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확대될 것을 예측했다.
특히 ‘방역 가치 인식과 실천의 변화’에서는 방역을 위한 일상 포기 주장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9%가 동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은 확진자의 잘못이라는 주장에 대해 동의는 55%, 확진자의 동선을 모두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세넌 63.2%가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주장에 대해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약 3~7%p 낮은 비율을 보였다.
‘건강의 변화’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16.6%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건강이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반면 건강을 지키기 위한 활동 실천에 있어서는 1인 가구가 그 외의 가구에 비해 1~5%p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우울감을 겪는 성별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10%p 높았다.
20세 이상 응답자의 19%는 흡연량이 감소한 반면 6.9%는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흡연량 감소는 여성과 남성이 각각 24.2%, 18.6%로 여성이 높았다.
응답자의 13%는 음주 빈도가 일주일 평균 1.6 감소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 빈도 감소 비율에 있어 약 2.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및 소득의 변화’에 대해서는 20대 이상 응답자 중 실직, 폐업과 같은 일자리 변동을 겪은 비율은 5.5%로, 이중 여성은 55.6%, 남성은 44.4%였다.
전체 응답자의 19.6%는 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감소액은 월평균 79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임금근로자의 88.2%는 수입 감소가 없는 반면, 자영업자의 61.2%는 임금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9.7%의 자영업자는 월평균 100만원 이상의 소득 감소가 있었다.
‘가족관계의 변화’에 있어서는 코로나19로 인해 가족관계가 좋아졌다는 응답이 14.8%로 나타났다. 다만 수도권 가구, 기초수급가구 및 1인 가구의 경우 가족관계의 개선보다 악화된 경우가 오히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허종호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는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절망적이지 않은 수준이지만, 취약계층에 쏠린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확인돼 향후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확대가 우려된다”며 “방역정책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근거기반의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조사연구는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진이 지난해 전국 15세 이상 남녀1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 행복조사’ 설문 내 코로나 관련 응답을 바탕으로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