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에서 각 보건의료단체가 지자체와 협력하는 가운데, 약사회 활동이 주목받았다.
보건복지부 커뮤니티케어 추진단 임강섭 팀장은 지난 19일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에서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의 보건의료 참여 사례중 하나로 약사회의 방문약료를 언급했다.
임강섭 팀장은 "각 직역에서 어느 정도로 절박하는지에 따라 적극성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약사회가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의협도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동의를 해주어서 원활히 진행되는 편"이라고 평가했다.
약사회의 경우 일본처럼 재택의료로 보건의료 축이 바뀌는 경우 조제료가 감소될 수도 있는 상황에 이를 고려하고도 적극적인 참여를 결정한 부분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임 팀장은 "물론 방문약료의 범위는 의료계와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방문약료를 포함한 재택의료의 추세는 필수적"이라면서 "부작용이 겁나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시대가 변하지 않는다"고 전제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새 사업의 수가는 생길 수 밖에 없다"면서 "약사회가 현명한 점은 그런 부분을 검토하고 연구도 하면서 사업을 참여하기 때문에 보완책을 준비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강섭 팀장은 이번 사업을 추진하며 확인한 '방문약료'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의료계와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임 팀장은 방문약료에 대해 "어르신들이 여러 의료기관을 다니면서 비슷비슷한 약들, 충돌하는 약들, 같이 먹으면 안되는 약을 함께 처방해 쌓아두고있다. 보관법도 냉장고/상온 등 다른데 잘 모른다"며 "약사들이 2~3시간에 걸쳐 보관상자를 만들고 정리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다음 처방 내역을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약 지식이 있어 병용금기, 주의 의약품, 중복약제에 대해서는 약사 확인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의사 잘못이 아니라, 환자가 여러 의료기관을 다니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확인해 안내가 되면 의료기관을 갔을 때에 해결이 가능해 진다"며 "다만 중복이나 병용금기 교정에 대한 부분은 의사 처방권이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과의 협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임강섭 팀장은 "방문약료를 언급하는 것은 환자와 의사 간 불신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정부 시스템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하나의 사례로 말한 것"이라면서 "특정 지자체에서 특정 서비스만 일어난다고 우려하고 일단 반대하기보다 적극적으로 활발하게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