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에 일교차까지…아이들 '편도염' 주의
건보공단 최근 5년 진료분석, ‘편도염’ 환자 5명 중 1명은 9세 이하
박선혜 기자 loveloves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4-01 12:00   수정 2019.04.01 12:39
요즘같이 미세먼지 많고 건조한 환절기 날씨는 ‘편도염’에 걸리기 쉽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9세 이하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편도염’은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이뤄진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3년~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편도염’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편도염’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797만 명에서 2017년 693만 명으로 연평균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진료인원은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이나 꾸준히 다빈도 상병 상위에 있으며, 편도염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급성편도염의 경우 2017년 다빈도 상병 4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17년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보면, 9세 이하 환자의 비율이 전체 진료 인원 중 21.2%를 차지하여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다. 9세 이하를 포함한 10대 이하의 진료인원은 약 238만 명으로 전체 34.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신향애 교수는 ‘편도염 질환’의 진료인원이 9세 이하 아동 환자가 많은 원인에 대해 “소아의 경우 면역체계가 발달 중인 단계로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편도염에 더 잘 걸리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편도염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9세 이하에서 편도절제술 수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2017년 연령대별 상위 5개 수술현황 자료를 보면 연간 수술인원의 경우 편도절제술이 9세 이하에서 1위, 10대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편도 및 아데노이드만성질환이 3만 6천 건으로 가장 많았고, 수면장애, 급성편도염 순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나 초겨울, 미세먼지나 건조한 대기로 상기도 점막이 약해지면서 바이러스나 세균이 편도에 침입하여 편도염 발생이 증가하는 것”이라며 “평소 편도점막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충분한 영양과 수분을 섭취하고 청결한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자주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