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오랫동안 서랍 속에 잠들어 있던 '통합약사 문제'를 꺼내들었다.
약사-한약사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취지로, 앞으로 관련 단체들과 적극적인 논의를 해나가겠다는 다짐이다.
보건복지부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지난 27일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올해 2월 15일 복지부 인사발령에 따라 한의약정책관으로 업무를 시작한 이창준 정책관은 의료자원정책과장과 보건의료정책과장, 감염병관리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보건의료단체·국회 등 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지닌 공무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정책관은 "한의약 보장성 강화 로드맵을 만들되,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겠다"며 "첩약급여화부터 시작해 한약사제도 개편 등 묵은 과제를 검토하고, 의사-한의사 일원화 문제도 본격적으로 논의를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통합약사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갈등이 있었던 약사-한약사 문제를 이번 기회에 해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 전 집행부 때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들었고, 새 집행부에서는 약사회 측 입장정리가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약사회를 만나 상견례를 진행하며 통합약사에 대해 앞으로 논의해 가자고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시작한 '한약제제 분업 모델' 연구에 대해서는 "한약사는 첩약분업을 주장하고 있지만, 한약은 일반의약품과 달라 표준화 등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창준 정책관은 첩약급여화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첩약급여화 협의체를 상반기 중 꾸려 연내에 시행하겠다"며 "약사회, 한약사회, 한의사협회 등 당사자단체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첩약급여화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오히려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면 정부가 직접 관리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한의협과 논의과정에서 급여화 시 원산지·원료명을 다 공개하기로 이미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 한의계 내부적으로 임상진료지침을 제정하고 규격화 노력을 기울여 왔고, 어느정도 단계에 올라섰다고 파악했다"면서 "환자가 쉽게 복용할 수 있고 내용을 정확히 알도록 하는 작업을 병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의료계-한의계 갈등과 관련해서는 "개원의와 한의사가 잘 교류해서 파이를 키워가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의-한의원은 함께 환자를 보고 어떻게 진료할지 고민하고, 정부가 협진할 경우 충분히 보상을 해주는 식으로 풀어나간다면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논란 등 문제가 자연스럽게 없어지지 않겠는가" 의견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