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디기탈리스중독 증상은 주로 부정맥, 소화기증상, 중추신경증상이나 시력증상으로 분류된다<표>. 중독증상중 부정맥이 전체의 약 반수를 소화기증상이 1/4를 차지한다. 이들 증상은 디기탈리스 중독만의 특유증상이 아닌 것이 많기 때문에 심부전증상 등 질환의 악화와 구별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소화기증상은 주로 중독 초기에 보이고 섬망 등을 포함한 중추신경증상은 고령자에서 많이 나타난다.
디기탈리스중독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부정맥으로 종류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심실성기외수축(부정맥의 반수이상)이 가장 많이 보이고 또, 중독한 부정맥은 죽음으로 직결된다. 서맥은 성인에서 초기에 나타난다.
유아나 소아에서 부정맥의 초기증상은 보통 심방성빈박, 방실접합부성빈박 등이 보이고 동서맥은 중독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증상이다.
<표>디기탈리스중독의 주요증상과 징후
부정맥 | 심실성기외수축, 방실블록, 방실접합부성빈박, 방실해리, 심방성빈박(특히 블록을 동반하는 것), 심실성빈박, 동서맥 |
소화기증상 | 식욕부진, 오심, 구토, 설사, 복통 |
중추신경증상 | 전신권태감, 항우울, 傾眠, 두통, 현기증, 사지 탈력감, 착란, 악몽, 섬망, 실신 |
시각이상 | 霧視, 黃視, 綠視 |
기전
디기탈리스에서 유발되는 부정맥은 심근이나 자극전도계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교감신경계나 미주신경계를 매개한다)작용에 의한 전도장애, 이소성흥분이나 자동능이 항진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의 소화기증상은 디기탈리스에 의한 延髓의 화학수용체자극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중추신경증상이나 시각이상의 원인, 기전은 불명확하다.
디기탈리스중독의 발현은 농도의존성이 커서, 혈중농도가 디곡신에서 2ng/㎖, 디기톡신에서 35ng/㎖이상으로 그 빈도나 중증도가 증가한다. 때문에 혈중농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서 상호작용(아미오다론, 베라파밀, 프로파페논, 퀴니딘 등), 신기능의 저하(디곡신, β-메틸디곡신), 간기능장애(디기톡신)는 중독의 위험요인이 된다.
또, 중독발현에는 디기탈리스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가 있고 저칼륨혈증을 포함한 전해질이상, 심질환, 저산소혈증(호흡기질환), 갑상선기능저하증, 노령 등의 원인이 있어 디기탈리스농도가 유효안전농도내에서도 중독증상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치료법
소화기증상이나 중추신경증상이 출현한 경우에는 중독증을 의심하여 혈중농도를 측정하고 부정맥이 인정되면 심전도검사를 한다. 증상으로부터 중독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는 확정될 때까지 디기탈리스 투여를 일시중지한다. 저칼륨혈증이 존재하면 칼륨을 보급한다.
디기탈리스 투여중지나 혈청칼륨치의 조정으로 경도의 중독증상은 소실되는데 혈행동태를 해치지 않도록 위험한 부정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리도카인, 프로카인아미드, 페니토인 등의 항부정맥약을 투여한다.
복약지도
이 약은 과량복용하거나 몸상태 변화 등에 따라 몸안에 일정량 이상으로 머물게 되면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워진다. 부작용에는 가벼운 것에서부터 심한 것까지 다양한데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기 쉽다.
'식욕이 없다; 구역질, 구토;설사' 등의 위장증상, '맥이 평소에 비해서 상당히 느리다, 또는 빠르다(동계가 있다), 맥이 고르지 못하다, 맥이 크게 뛴다'등의 맥이나 심박의 이상, '빛이 없는데도 빛이 나는 것처럼 보인다.: 물체가 황색이나 녹색으로 보인다: 물체가 겹쳐보이거나 희미하게 보인다' 등의 시력이상, '몸이 몹시 나른하다, 수족에 힘이 없다: 볕이 나면 꾸벅꾸벅 존다.: 두통이 있다; 사리판단이 힘들어진다'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지도한다.
지도포인트
디기탈리스중독증상은 다양하여 중독 특유의 증상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기초질환증상 특히 심부전증상 등과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증상이 인정되면 기초질환의 악화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즉시 의삭에게 연락하여 지시를 확인하고 수진하도록 지도한다.
디기탈리스중독에서는 부정맥의 위험이 크므로 본인이나 가족들이 수시로 맥박을 체크하여, 평소에 비해서 맥이 적어지거나 맥이 크게 뛰고, 맥이 빨라지는 등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기탈리스중독은 저칼륨혈증에서 생기기 쉬우므로 이뇨제(칼륨상실성)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음식물섭취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설사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인은 심부전환자나 고령자 등에서는 신기능저하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디기탈리스, β-메틸디곡신(배설이 주로 신장) 복용환자에서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시판되는 부정맥 치료약
코다론 정/주(사토피∼신데라보 코리아), 노르페이스 캅셀(한국썰), 멕시틸 캅셀(한국베링거인겔하임), 리트모놈 정(일성), 카르딘 정(이연), 한국유나이티드 퀴니딘설페이트 정(한국유나이티드), 렌티블록 정(경풍)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