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O·P
법정 기념일인 화장품의 날을 맞아 2025년 9월 선포된 K-뷰티의 미래 비전 'T·O·P'은 △T (Technology & Trust)- 기술력과 소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K-뷰티 경쟁력 강화 △O (Originator & Opportunity)- K-뷰티의 독창성을 부각하고, 새로운 시장과 기회를 발굴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 확장 △P (Partnership & Performance)- 산업계, 학계, 정부 간의 협력 강화와 이를 통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K-뷰티 산업의 성장 견인을 포괄한다.
근본적 재설계
2025년 9월 규제인증기관 NSF의 정호진 본부장은 미국 시장의 성공 요인으로 "라벨링부터 성분 구성까지 근본적으로 다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시행 이후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K-뷰티의 미국 통관 거부는 총 298건 발생했고 이 중 169건이 자외선차단제였다. 대부분은 '현행 GMP 요건 미충족'이 이유로, 비용 손실은 물론 브랜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팩클렌저
스킨케어 카테고리에서 '팩클렌저(Pack Cleanser)'라는 새로운 컨셉이 급부상하고 있다. 팩클렌저는 팩을 하듯 얼굴에 바르고 잠시 두면 피부에 모공 세정·보습·탄력 등 스킨케어 효과를 주는 신개념 클렌저다. CJ올리브영은 올영세일 기간(2025년 8월 29일~2025년 9월 4일) 팩클렌저 검색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700% 증가했다고 2025년 9월 밝혔다. 해당 올영세일 기간에서 팩클렌저는 클렌징 카테고리 인기 10위 제품 중 절반을 차지했다.
Amazon K-ids
미국 아마존에서 K-뷰티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아마존 미국 뷰티&헬스 부문 멜리스 델 레이(Melis del Rey) 총괄 부사장은 1200개가 넘는 한국 브랜드가 입점해 있으며, 상품 수는 2만개가 넘는다고 2025년 9월 밝혔다. 최근 1년간 미국에서 1900만명이 K-뷰티를 구매했고, 관련 검색량은 뷰티 전체 검색의 20% 이상을 차지했다. K-뷰티 제품의 판매 수량도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스킨케어 부문에선 '메이저' 중 하나로 성장했다.
구원투수 ‘6번’
관세청도 K-뷰티 수출을 돕기 위해 나섰다. 관세청이 2025년 9월 공개한 6가지 지원책은 △글로벌 무역장벽 해소- 수출기업의 원산지 검증 능력 제고 △현지 맞춤형- 실시간 정보 제공으로 불확실성 대응 △전자상거래- 수출(역직구) 활성화를 위한 세부 과제 추진 △수출 판로 확대- 원산지증명서 발급절차 대폭 간소화 △브랜드 보호- 위조품의 불법 수입 및 유통 차단 △전자상거래 풀필먼트- 현지 판매가격에 맞춘 수출신고 절차 개선이다.
실시간 FDA
미국 FDA가 부작용 보고 시스템(FAERS)에 대화형 도구로 설계된 화장품 공공 대시보드(Public Dashboard)를 도입한다고 2025년 9월 밝혔다. 이러한 대화형 도구를 통해 소비자들이 화장품 부작용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됐다. 검색 대상 정보에는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이 규정한 책임자(RP)가 제출한 중증 부작용 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가, 소비자, 미용 전문가 및 기타 관계자 등이 FDA에 제출한 내용 등도 포함된다.
메탈릭 관세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화장품 업계의 주의와 대응이 요구된다. 2025년 9월 아덴트 관세사무소 남형우 관세사는 화장품 용기 내부 스프링이나 펌프에 금속이 들어간 만큼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고 설명했다. 금속이 전혀 없다면 상호 관세 15%가 적용된다. 기업이 자재명세서를 통해 철강·알루미늄 사용 여부와 함량을 명확히 증빙해야 하며, 비율 공개를 누락할 경우 전체에 50%가 적용될 위험도 있다.
문신사법 드디어
2025년 9월 국회는 문신사법을 재석 202명 가운데 찬성 195명, 기권 7명으로 의결하면서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이 33년 만에 합법화됐다. 문신과 반영구 화장을 모두 '문신 행위'로 정의하고 국가자격시험을 거쳐 면허를 취득하면 문신사의 독점적 지위를 부여한다. 다만 문신 제거는 금지된다. 대한문신사중앙회는 "마침내 자랑스러운 전문 직업인으로 거듭나게 됐다"며 "안전하고 수준 높은 서비스로 K-타투를 세계 최고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트윅먼트 (tweakments)
닐슨IQ가 2025년 9월 발표한 관련 보고서는 2025년 상반기 뷰티 소비자 행동을 규정한 3대 키워드로 웰니스, 트윅먼트, 인공지능을 꼽았다. 이 중 트윅먼트는 미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트윅먼트는 tweak(수정)과 treatment(치료) 단어를 합친 것으로 필러·보톡스와 같은 비외과적(non-invasive) 미용시술을 의미한다. 미국 소비자의 35%는 시술 이후 스킨케어 루틴과 제품을 바꿀 예정이고, 25%는 화장품과 시술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IFSCC 첫 ‘금메달’
2025년 9월 프랑스에서 열린 세계화장품학회(IFSCC) 콩그레스에서 코스맥스가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기초 연구 어워드(Basic Research Award)'를 수상했다. '화장품 연구자 올림픽'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IFSCC 학술 행사에 한국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참가해왔지만 수상 실적은 없었다. 한국 최초 '기초 연구 어워드' 본상 수상자는 세계 최초로 모낭 오가노이드(인체 모사체)를 활용해 백발 형성 매커니즘을 구현한 코스맥스 R&I센터 경서연 책임연구원이다.
01 | 동성제약, “성공적 회생절차 이행 최선..인... |
02 | 리스큐어, 세계 첫 관절건강 프로바이오틱스... |
03 | 뉴로핏, ‘tDCS 솔루션’ 혁신의료기술 근거창... |
04 | SK케미칼-아리바이오, 치매 치료제 개발 업... |
05 | HK이노엔 ‘케이캡’, 6번째 적응증 추가 위한... |
06 | 휴젤 ‘레티보’, 중국 톡신 시장 점유율 15% ... |
07 | 마이크로바이오틱스, 박테리오파지 신약 'MP... |
08 | KEY NOTES for MANAGEMENT: 2025년 09월 |
09 | 켄뷰, 아세트아미노펜 시민청원 비토 FDA 요청 |
10 | 국내 최초 '한국우주인연구소' 공식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