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반기에도 유럽 시장을 확실히 장악하며 글로벌 CDMO 리더십을 강화했다. 올해 상반기 유럽 매출은 1조395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54%)을 차지했다. 동시에 미주 매출이 9521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급증하며 유럽과 함께 양대 성장 축을 형성했다.
이는 약업신문이 삼성바이오로직스 2025년 8월 반기보고서(연결기준)을 분석한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반기 한국 매출은 832억원으로 전년 740억원보다 13% 늘었다. 기타 지역 매출은 1575억원으로 3% 성장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유럽 54%, 미주 37%, 한국 3%, 기타 6%로 집계됐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반기 매출은 2조58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9623억원으로 46.7% 급증했다.
매출총이익은 1조45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7% 늘었고, 매출총이익률도 56.1%로 4.9%p 상승했다. 영업이익률은 37.2%로 전년 31.2%보다 6%p 높아져 수익성 개선이 뚜렷했다. 순이익 역시 6999억원으로 41% 늘며 순이익률 27%를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2286억원으로 전년 1770억원보다 29.2%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8.8%로 소폭 상승(+0.4%p)했다.
해외 매출은 2조505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4%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6.8%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반기 실적은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매출과 이익이 크게 확대됐다. 글로벌 수주 증가와 대규모 생산능력 확보가 실적을 견인하며, CDMO 본업 중심의 수익 구조가 더욱 강화됐다.
CDMO 부문 매출은 1조7865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2937억원 대비 38%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9%로, 전년 61%보다 8%p 확대됐다. 같은 기간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부문 매출은 8016억원으로 전년 8101억원 대비 1% 줄었다.
CDMO 부문 영업이익은 8729억원으로 전년 동기 4753억원 대비 84% 급증했다. 영업이익 비중도 91%에 달했다. 반면 개발·상업화 부문 영업이익은 894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다. 영업이익 비중도 18%P 하락했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5년 상반기 지분법손익에서 154억원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3억원) 대비 뚜렷한 반전을 이뤄냈다. 투자 포트폴리오 중 SVIC 54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155억원의 수익을 내며 흑자 전환을 주도했다.
반면 SVIC 64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은 -1억원 손실로 전년과 동일한 소규모 적자를 이어갔다.
![]() |
삼성바이오로직스 미국 법인 Samsung Biologics America, Inc.는 상반기 매출 6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82억원 대비 매출은 소폭 줄었지만, 순이익이 3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년 동기 -5억원에서 8억원 개선된 성과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상반기 매출 8016억원으로 전년 8101억원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1767억원으로 전년 2604억원 대비 32% 감소했다.
![]() |
01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상반기 매출·수익성 크... |
02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꽉 잡은 지역은? 유럽…... |
03 | "세계 최대 시장 뚫었다" 대웅제약 펙수클루... |
04 | SK바이오팜, 상반기 엑스코프리 매출만 3000... |
05 | 대한약사회 “의약품 수급불안, 동일성분 대... |
06 |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국내 희귀... |
07 | 첫 '화장품의 날' 5일 서울 마곡에서 기념식... |
08 | 셀트리온, 상반기 R&D 투자만 2297억원…매출... |
09 | 끝나지 않은 코로나19, 국내외 전문가들 머... |
10 | FDA, HLB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CRL 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