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8월 반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화장품 관련 기업 75개사(코스피 15, 코스닥 55, 기타 외감 5)의 올해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평균 22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0.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11.6%다. 2분기 영업이익 평균은 110억원으로 전기 대비 2.0% 감소했으나, 전년동기보다는 12.9%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1.2%다.
![]() |
![]() |
올 상반기 영업이익 규모는 순위변동이 크다. 1~3위가 모두 자리 바꿈을 했다. 3위였던 아모레퍼시픽홀딩스가 1위로, 1위였던 LG생활건강은 2위로, 3위였던 한국콜마는 4위로 내려앉았다. 에이피알이 전년동기 9위에서 3위로 치고 올라왔고, 달바글로벌도 10위권에 새로 진입했다. 전년동기 10위에 포진했던 브이티는 탈락했다.
1위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209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이하 전년비) 119.4% 급증했다. 2위는 LG생활건강으로 영업이익은 1972억원이다. 전년비 36.3% 역성장했다. 3위는 에이피알로 영업이익은 1391억원으로 전년비 149.4% 성장했다.
4위는 한국콜마로 영업이익은 1334억원. 전년비 28.1% 증가했다. 5위는 코스맥스로 전년비 21.7% 증가한 1122억원을 기록했다.
6~10위는 파마리서치(1006억원), 실리콘투(999억원), 휴젤(956억원), 클래시스(818억원), 달바글로벌(593억원)이다. 75개 화장품기업 영업이익 평균은 223억원이다.
![]() |
상반기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비올이다. 52.8%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액은 51억원. 2위는 클래시스로 51.0%(430억원=이하 영업이익액).
3위는 휴젤로 47.8%(567억원). 4위는 케어젠으로 44.7%(74억원), 5위는 원텍으로 41.2%(173억원)이다.
6~10위는 파마리서치(39.1%), 브이티(27.4%), 휴메딕스(26.7%),아스테라시스(26.0%), 달바글로벌(24.5%)이다. 75개 화장품기업의 영업이익률 평균은 11.6%다.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
올해 상반기 전년비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제닉이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무려 2877.7% 성장했다.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89억원 늘면서 9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2위는 코디로 전년비 248.6% 증가했다. 영업이익이 화장품 부문 15억원, 화장품 용기 부문 16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전년보다 29억원 증가한 40억원을 기록했다. 3위는 아스테라시스로, 증가율은 197.8%.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29억원 증가해 4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4위는셀바이휴먼텍으로 전년비 188.0% 증가했다. 종속기업 등 영업이익이 23억원 증가하면서 4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5위는 에이피알. 증가율은 149.4%.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845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833억원 늘었다. 영업이익 규모는 1391억원.
6~10위는 원텍(133.0%), 아모레퍼시픽홀딩스(119.4%), 청담글로벌(97.5%), 달바글로벌(83.4%), 바이오플러스(78.7%)다.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액 상위 10개사
![]() |
올 2분기 영업이익을 가장 많이 올린 화장품 기업은 에이피알로 846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비 54.9%, 전년비 201.9% 각각 성장하면서 1위를 꿰찼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홀딩스로 801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비 37.8% 감소했으나, 전년동기보다는 555.5% 급증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73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전기비 22.6%, 전년비 2.4% 각각 증가했다.
4위는 코스맥스. 영업이익은 608억원. 전기비 18.4%, 전년비 30.2% 각각 늘었다. 5위는 휴젤. 영업이익은 567억원. 전기비 45.5%, 전년비 33.6% 각각 성장했다.
6~10위는 파마리서치(559억원), LG생활건강(548억원), 실리콘투(522억원), 클래시스(430억원), 달바글로벌(292억원)이다. 75개 화장품기업 2분기 영업이익 평균은 110억원이다.
△2025 년 2분기 영업이익률 상위 10개사
![]() |
4위는 케어젠. 영업이익률은 41.1%( 74억원), 5위는 비올로 영업이익률은 40.2%(51억원).
6~10위는 파마리서치(39.7%), 아스테라시스(37.1%), 브이티(26.1%), 에이피알(25.8%), 휴메딕스(25.1%)다. 75개 화장품기업의 2분기 영업이익률 평균은 11.2%.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액 전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
올해 2분기 전기 대비 영업이익액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아스테라시스다. 증가율은 549.2%.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32억원 증가하면서 38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클리오. 증가율은 206.3%.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34억원 증가하면서 전기보다 24억원 늘었다. 영업이익 규모는 35억원. 3위는 콜마비앤에이치로 증가율은 198.9%. 식품 부문 영업이익이 57억원 늘어나면서 전기대비 71억원 증가, 10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4위는 한농화성으로 증가율은 155.1%. 매출 총이익이 3억원 증가하고, 판매관리비가 7억원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은 10억원 늘었다. 영업이익 규모는 16억원. 5위는 엔에프씨. 증가율은 118.6%. 판매관리비가 14억원 줄면서 영업이익은 17억원 증가한 31억원을 기록했다.
6~10위는 제이투케이바이오(111.5%), 마녀공장(110.2%), 셀바이오휴먼텍(105.9%), 코스메카코리아(87.3%), 애경산업(84.6%)이다.
△2024 년 2분기 영업이익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
올해 2분기 전년비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아모레퍼시픽홀딩스다. 증가율은 555.5%.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영업이익이 695억원 증가하면서 80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2위는 제닉으로 증가율은 514.4%.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46억원 증가하면서 5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3위는 셀바이오휴먼텍. 증가율은 249.0%. 영업이익이 지배기업 7억원, 종속기업 등 15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30억원을 기록했다.
4위는 에이피알 . 증가율은 201.9%. 지배기업 영업이익이 561억원 증가하면서 84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5위는 청담글로벌로 증가율은 178.2%. 화장품 유통 부문 영업이익이 20억원 증가하면서 27억원 늘어난 4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6~10위는 원텍(145.9%), 코디(100.6%), 파마리서치(81.7%), 에스엠씨지(74.6%), 달바글로벌(66.0%)이다.
01 | 국경없는의사회, 자비드 압델모네임 신임 ... |
02 | 코스피 제약바이오 상반기 순이익률 '삼성제... |
03 | 식약처, 4일 인도네시아 화장품 수출 설명회... |
04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오스... |
05 | 에이유랩스, R&D 조직 개편... “차세대 융합... |
06 | 코스메카코리아, '30년 경력 색조 전문가' ... |
07 | 비보존제약,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 |
08 | LG화학, 수술부위 감염 예방 항균제 ‘유케... |
09 |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조의 삼성’ 앞세워 글... |
10 | [뷰티누리X민텔] 노화 관리 , ‘안티에이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