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총리, 그린란드 산아제한 피임 강행 사과
1992년 이전 원주민 여성들에 동의없이 피임기구(IUD) 시술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9 06:00   수정 2025.08.29 06:01


 

그린란드는 부동산 사업가 출신답게 땅에 대한 야욕을 드러낸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국제적으로 뜨거운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한 곳이다.

그런데 바로 이곳 그린란드가 다시 한번 핫이슈의 진원지로 떠오를 수 있을 전망이다.

덴마크의 메테 프레데릭센 총리가 과거 덴마크령 그린란드의 여성들에게 자행되었던 제도적인 차별행위(systematic discrimination)에 대해 27일 사과문을 공표했기 때문.

이날 프레데릭센 총리는 덴마크가 지난 1992년 그린란드의 의료 시스템에 대한 권한을 현지 정부에 넘겨주기 이전이었던 1966~1991년 기간 동안 그린란드의 원주민 여성들에게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자궁 내 피임기구(IUD)를 삽입했던 과오에 대해 깊은 사과의 뜻을 밝혔다.

과거 덴마크 정부가 원주민 여성들의 산아제한을 목적으로 당사자들의 승낙조차 받지 않은 채 피임기구를 시술하는 인종차별 행위를 자행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었다는 것이다.

이날 그린란드 정부의 엔스-프레데릭 닐슨 의장(즉, 총리)도 깊은 유감의 뜻을 밝히면서 공조의사를 표시했다.

여성 정치인의 한사람인 프레데릭센 총리는 “잘못된 행위가 이루어진 과거의 사례들이 다수의 그린란드 국민과 가족들에게 분노와 슬픔의 원천이 되고 있다”면서 “이 같은 행위가 덴마크와 덴마크 영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우리는 가까운 장래에 공정한 조사가 착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는 덴마크 정부와 그린란드 정부가 합의한 모든 사안들 가운데 밝혀내지 못한 부분들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고, 우리는 우리의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뒤이어 “과거의 잘못된 행위를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알아야 하기 때문에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깨달음을 얻어야 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또한 프레데릭센 총리는 “우리가 전모를 모두 알 수는 없더라도 많은 수의 그린란드 여성들이 덴마크의 의료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진 폭력적인 조치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을 정부가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록 과거에 일어난 일을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우리가 책임을 져야 하므로 덴마크 전체를 대신해야 사죄의 뜻을 밝히고 싶다고 프레데릭센 총리는 말했다.

제도적인 차별행위의 대상이 되었던 모든 여성들에게 사과하고 싶다는 것이다.

그들은 단지 그린란드 여성이라는 이유로 신체적‧정신적 상해를 입어야 했고, 그들을 좌절로 이끌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피임기구가 시술된 사례들에 대해 공정한 조사가 종결되면 덴마크 정부가 그린란드 정부와 함께 차후의 대안들에 대해 협의를 지속하면서 덴마크 역사의 어두운 이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피임기구 시술로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 대한 금전적인 배상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프레데릭센 총리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린란드 정부의 엔스-프레데릭 닐슨 의장은 “그린란드 정부를 대신해서 우리가 의료 시스템에 대한 전권을 넘겨받은 이후에도 일부 여성들에게 상해를 입히고 학대하는 행위가 없지 않았다”면서 사과의 뜻을 전하고 싶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그들은 물어보지도, 따져보지도 못한 채 피임기구 시술을 받아야 했다고 닐슨 의장은 상기시켰다.

이에 따라 그린란드 정부는 깊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닐슨 의장은 밝혔다.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배상하기로 이미 결정되어 1월부터 관련업무가 진행 중이고, 가까운 장래에 피해여성들에게 적용된 배상안이 공개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과거의 피임기구 시술 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공정한 조사계획은 다음달 발표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그린란드에서는 지난해 3월 일부 여성들이 내무부와 보건부를 대상으로 피임기구의 시술과 관련한 피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현재 그린란드 정부는 배상을 요구하는 피해여성들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사유로 배상을 요구하지 않고 있는 피해여성들에 대해서도 똑같이 지지의사를 밝히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