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비앤에이치 윤여원 대표가 지주사 콜마홀딩스가 지난 1일 주장한 "수년간의 실적 부진과 미래 전략 부재로 그룹 내 본연의 역할을 상실했다"는 비판에 대해서 윤 대표 단독 운영 체제 첫 해에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7일 반박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코로나19 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 전반의 침체 속에서도 꾸준한 매출 성장을 이어왔으며, 지난해엔 연결 기준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6156억 원을 기록했다. 윤 대표가 단독대표로 취임한 첫 해에 달성한 성과라는 설명이다.
콜마비앤에이치에 따르면 과거 2018~2021년 그룹 내 주요사업인 화장품이 부진을 겪는 동안, 콜마비앤에이치가 그룹 내 가장 높은 외형성장과 최고 수익성을 시현했다. 회사 측은 "당시 화장품사업의 부진을 책임지고 윤 부회장이 퇴진하라는 요구는 없었다"며 "경기에 민감한 소비재산업에서 하락국면마다 경영진을 교체해야 한다면 어떤 경영진도 지속가능한 중장기 전략을 구축하기 어렵다"고 적극 반박했다.
또 콜마비앤에이치의 경영은 그간 완전히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콜마홀딩스의 관리 하에 운영돼 왔고 수년간 콜마홀딩스는 정기적인 대면 보고를 통해 주요 사업 전략과 의사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신사업 제안과 투자 계획 또한 지주사 차원에서 대부분 반려되어 왔다"는 주장이다.
콜마홀딩스에서 윤여원 대표의 경영실패 사례로 언급한 콜마생활건강 역시 윤동한 회장과 윤상현 부회장이 컨펌하고 그룹의 사전조율 아래 시작된 사업이다. 이를 사업실패로만 판단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시각이다.
콜마비앤에이치는 "HK이노엔 역시 지난 2022년, 브랜드사업(뉴틴) 150억원 적자 후 철수한 경험이 있고, 콜마홀딩스 역시 자체 플래닛147(화장품 신규브랜드 인큐베이팅 플랫폼) 사업 시작 후 적자 지속 중"이라며 "어떤 회사도 신사업을 이익 창출만을 위해서 운영하지는 않으며, 이를 사업실패로만 판단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시각"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표는 최근 수년간 원료 포트폴리오 혁신, R&D 인프라 강화, 생산·영업·SCM의 전반적 효율화 등을 추진하며 꾸준히 체질 개선에 집중해 왔다.2025년 연간 경영계획 발표에서도 매출 6,350억 원(+3% YoY), 영업이익 320억 원(+30% YoY), 영업이익률(OPM) 5%로 전망하며, 구조적 체질 개선의 효과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윤여원 대표는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콜마비앤에이치가 사회적으로 많은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주주와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비록 수많은 외부적 제약과 도전이 있었지만, 창업주이신 회장님의 오랜 경영철학인 ‘우보천리(牛步千里)’를 다시한번 가슴깊이 되새기며, 콜마비앤에이치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영 안정화를 위해 흔들림없이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