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조합,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협의체 출범
57개 기업/기관 참여...R&D, 임상, 제조 등 전주기 공동 컨소시엄·기획·전문가 양성·정보교류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8-27 11:17   수정 2025.08.27 11:22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 이사장 김정진)이  27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08호에서 AI·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을 비롯한 바이오헬스산업 전반 혁신 성장을 위한 협력체계를 본격 추진하고자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협의체(Digital Biohealth Innovation Council)’를 출범했다.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협의체는 신약조합이 추진하는 전주기 혁신 지원 인프라 플랫폼 구축 사업 중 하나인 ‘AI·빅데이터 활용 바이오헬스산업 전주기 지원 플랫폼’으로 디지털바이오헬스산업 혁신 생산성을 높이고자 설립됐다.  제약·바이오헬스 분야 39개 기업/기관과 AI·빅데이터·ICT 분야 32개 기업/기관 등 총 57개 기업/기관이 참여해 단순한 교류의 장을 넘어 양 산업계 간 실질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할 예정이다.

주요 사업은  △ 바이오헬스산업계 및 AI/빅데이터/ICT 기술 기반 디지털 플랫폼 관련 산업계 간 유기적인협력 체계 구축 및 타깃발굴, 후보물질 탐색부터 임상 설계, 제조·생산 과정 등 신약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전 단계  공조  컨소시엄 구성 △ 바이오헬스산업과 디지털 플랫폼 기술을 아우르는 체계적 전문가 양성 △ AI/빅데이터 활용 디지털바이오헬스 관련 정보교류를 위한 세미나, 컨퍼런스, 포럼 등 운영 △ 디지털바이오헬스 관련 국책 연구개발 사업 공동 추진 △ 협의체 참여기업/기관 간 디지털바이오헬스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협력 사업 등이다.

협의체 출범식에서는 57개 참여기업/기관에 대한 회원증 수여식과 함께 제약·바이오헬스분야 사무총장으로 신약조합 조헌제 전무를, AI·빅데이터·ICT분야 사무총장으로 대한의료데이터협회 홍용석 이사를 임명하고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신약조합 김정진 이사장은 “AI와 빅데이터는 신약개발 속도와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글로벌 제약산업 패러다임을 빠르게 바꾸고 있다”며 “오늘 출범하는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협의체는 한국 바이오헬스산업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연구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약조합 조헌제 연구개발진흥본부장은 “글로벌 컨설팅 보고서에 따르면 AI 신약개발 시장 규모는 2030년 200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유럽·중국 등 주요국은 국가 전략 차원에서 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과 투자 확대를 추진 중”이라며   “이번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협의체 출범을 통해 바이오헬스 R&D, 임상, 제조, 공급망, 마케팅 등 18개 분야의 디지털 전환(DT)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신약개발 생산성 제고와 맞춤형 진단·치료, 예방, 전주기 헬스케어 서비스 등 토탈 헬스케어 사업 다각화를 통한 글로벌 시장 확장성 제고를 위해 최선의 지원을 다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