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30>
담석증
최선례 기자 best_su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1999-10-28 11:29   
담석증

질병개념

담낭, 담관 등 담도내에 담즙성분으로 형성된 돌을 담석이라고 한다. 그 주성분에 따라 콜레스테롤결석, 빌리루빈결석, 색소담석으로 분류하고 所在에 따라 담낭결석, 담관결석, 담내결석으로 분류한다.

담석증 증상은 식후, 특히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했을 때 일어나는 心窩部나 右季助部의 鈍痛 내지는 疝通발작인데 전혀 증상이 없는 무증상 담석(silent gallstons)도 있다. 疼通은 오른쪽 어깨나 오른쪽 등으로도 放散되고 담낭염 증상으로 惡寒戰慄, 嘔吐, 발열, 일과성 황달, 灰白色便이 생기기도 한다. 理學的으로는 右季助部壓通으로, 심호흡 시에 檢者의 손가락을 右助弓下에 대고 압박하면 膽囊腫大 통증 때문에 吸氣가 중도에서 멈춰버리는 증상을 보인다.

합병증으로 담도감염, 담낭수종, 담낭천공, 담즙성복막염, 膽汁瘻, 膵炎, 續發性 담즙성 간경변이 있고 또, 담낭암 합병도 있다.

치료원칙

담석증 치료는 증상의 유무, 담석의 존재부위, 종류, 합병증 유무에 따라 다르다. 有症狀者는 鎭痛鎭痙劑 투여 외에 담낭이 잘 造影되어 석회화가 없는 직경 2㎝이하인 경우에는 Ursodesoxycholic酸이나 Chenodeoxycholic酸 등의 담석용해제를 투여한다. 무증상이어도 본인이 희망하면 투여하는 일도 있다. 보통 1년 지속하여 담석축소효과가 보이면 계속 투여한다.

담석발작에 대해서는 항콜린제를 투여하지만 疼痛이 심한 경우에는 마약류을 사용하기도 한다. Pentazocine은 대량투여하면 Odd활약근을 수축시켜 오히려 담도내압을 높이는 일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疼痛발작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담낭적출술을 고려하는데 최근에는 초음파 결석파괴(ESWL), 복막경하 담낭적출술을 하고 있다. 특히, 후자의 보급이 현저하다.
總擔管결석은 내시경하 유두절개술(EST)로 결석제거를 하는 일도 있다.

또한, 시설에 따라 경구쪽 담낭 내시경하 쇄석술(Peroral Chilecystoscopic lithotomy; PCCS), 경피경간담낭경하 쇄석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ecystoscopic lithotomy; PTCCL) 등 내시경치료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약물과 처방해석

담석증의 내과적 치료에는 담석용해제를 제1선택제로 사용하고 이담제는 담낭의 생리기능개선 등을 목적으로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담석용해 요법의 대상이 되는 담석은 주로 콜레스테롤담석이고 게다가 효과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증례의 선택 및 치료기간 결정이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과적 치료로 바꿀 필요도 있다. 또, 담석시 복부증상 개선을 위해서 소화관 평활근에 대한 鎭痙作用 및 담낭운동 개선작용 등을 하는 臭酸Timepidium 이나 Flopropione 등의 약물을 병용하기도 한다.

·Ursodesoxycholic酸(담석용해제)

《작 용》 이담작용, 담즙콜레스테롤 不飽和化작용 및 간혈류 증가작용을 한다. 또 티아민, 리보플라빈의 흡수증대, 아스코르빈酸의 간·신내의 축적증가, 간글리코겐 축적작용, 간근육에서의 유산생성 억제작용, 소화효소 및 소화액의 성비억제작용 등을 한다. 그 밖에 Oddi근 이완에 따른 배담작용도 한다.

《사용상 주의》 심한 췌질환, 소화성궤양, 담관에 담석이 있는 경우는 신중하게 투여할 것. 임산부에는 투여회피.

《상호작용》 경구항당뇨병제의 작용을 증강시키므로 병용은 신중하게 한다.

《금 기》 완전담도폐색, 劇症간염환자.

《부작용》 소화기증상, 과민증, 그 밖에 전신권태감, 현기증 등.

《기 타》 적응외 증례에 담석용해요법은 위험하므로 용해법 적응을 엄선해야 한다.

·Flopropione(鎭痙, 점액분비억제제)

《작 용》 교감신경을 통한 작용기전으로 소화기, 尿路系 평활근의 운동이상을 개선한다. 특히 췌담관 말단부의 Oddi근에 대해서 이완작용을 하고 췌담도 내압을 저하시켜 간담도, 췌질환에 동반하는 복부증상을 제거한다. 또, 비뇨기관에 대해서는 뇨로의 痙縮寬解와 신혈류 증가에 기초한 이뇨작용을 병유하고 있다. 뇨로결석에 동반하는 자각증상을 제거함과 동시에 결석배출을 촉진한다.

《사용상 주의》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투여한다.

《부작용》 소화기 증상, 과민증.

·Timepidium(鎭痙, 점액분비억제제)

《작 용》 소화관 평활근에 대한 강한 鎭痙작용 외에 Oddi근 이완작용, 항궤양작용, 방광운동억제 작용, 항Oxytocin작용 등을 한다.

《사용상 주의》 視조절장해가 생기므로 자동차 운전 등에 주의한다.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에는 원칙적으로 금기이지만 유용성이 높을 때에만 허용한다. 고령자는 구갈, 배뇨곤란, 변비 등의 부작용이 생기기 쉬우므로 신중하게 투여한다.

《상호작용》삼환계 항우울제, MAO저해제, 항히스타민제와 병용하면 본약물의 작용이 증강된다.

《금 기》 녹내장, 전립선비대에 의한 배뇨장해, 심한 심질환, 본약물 성분에 대해 과민증 병력이 있는 환자.

《부작용》 쇼크, 眼증상, 정신분열증상, 소화기증상, 순환기증상, 과민증, 비뇨기증상, 주사부위이상. 그밖에 권태감, 안면홍조 등.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