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社와 사노피社는 아토피 피부염 및 천식 치료제 ‘듀피젠트’(두필루맙 주사제)가 FDA로부터 적응증 추가를 승인받았다고 25일 공표했다.
이에 따라 ‘듀피젠트’는 1~11세 연령대에 속하면서 체중이 최소한 15kg에 해당하는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EoE)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도 사용이 가능케 됐다.
특히 적응증 추가가 승인됨에 따라 ‘듀피젠트’는 미국에서 1~11세 연령대에 속하면서 체중이 최소한 15kg에 해당하는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을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됐다.
앞서 ‘듀피젠트’는 지난 2022년 5월 12세 이상 연령대에 속하면서 체중이 최소한 40kg에 해당하는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허가된 바 있다.
FDA는 이번에 ‘신속심사’를 거쳐 ‘듀피젠트’의 1~11세 연령대 적응증 추가를 승인한 것이다.
이와 관련, 호산구성 식도염은 2형 염증과 관련이 있는 만성, 진행성 질환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2형 염증은 식도 손상 및 식도의 기능저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산구성 식도염은 소아의 식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다 다수가 속쓰림, 구토, 복부 불편함, 연하장애(嚥下障碍), 거식증 및 성장장애 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더욱이 이 같은 증상들은 소아의 성장과 발육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합병증이나 증상이 진행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호산구성 식도염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가 요망되고 있는 형편이다.
현재 2만1,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미국 내 12세 미만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은 정식으로 적응증을 승인받지 못한 약물들을 사용한 치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실제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 수는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증상이 다른 질환들로 오인될 수 있는 데다 진단이 지연되는 사례가 잦기 때문이다.
‘듀피젠트’를 개발한 주역의 한사람으로 알려진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社의 조지 D. 얀코풀로스 대표 겸 최고 학술책임자는 “소아들의 경우 호산구성 식도염에 가장 취약한 환자그룹에 속한다”면서 “이처럼 파괴적인 진행성 증상이 그들의 기본적인 음식물 섭취력을 위협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소아를 위한 호산구성 식도염 치료제가 허가를 취득한 전례가 부재했던 까닭에 다수의 환자들이 허가받지 못한 약물들을 사용했고, 이로 인해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표적으로 치료하는 데 실패해 왔다고 얀코풀로스 대표는 지적했다.
그는 뒤이어 “이번에 적응증 추가가 승인됨에 따라 ‘듀피젠트’가 1세 이상이면서 체중이 최소한 15kg 이상에 해당하는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을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대안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며 “기저 2형 염증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듀피젠트’가 청소년 및 성인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을 위한 표준치료법을 바꿔놓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FDA는 2개 파트로 구성된 임상 3상 ‘EoE KIDS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적응증 추가를 승인한 것이다.
이 시험은 1~11세 연령대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에게서 ‘듀피젠트’가 나타내는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시험례이다.
시험에서 16주차에 평가했을 때 체중에 따라 고용량의 ‘듀피젠트’를 투여받은 소아환자들의 66%가 조직학적 질병관해(호산구 수치 6 이상)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나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3%를 크게 상회하면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조직학적 관해는 52주차까지 유지되어 A파트 및 B파트에서 ‘듀피젠트’를 투여받은 소아환자들의 53%에서 조직학적 관해의 유지가 관찰됐다.
이 같은 조직학적 관해는 B파트에서 플라시보를 투여받다가 ‘듀피젠트’로 전환한 소아환자들의 53%에서 52주차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도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징후/증상 설문-간병인’(PESQ-C) 지표를 적용해 평가한 결과를 보면 호산구성 식도염의 징후들이 한가지 이상 나타난 일수(日數)의 비율을 16주차에 평가했을 때 ‘듀피젠트’를 투여한 소아환자들에게서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를 내보였다.
사노피社의 나이미쉬 파텔 글로벌 면역학‧염증 개발담당 대표는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이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형편”이라면서 “미국 내 12세 미만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의 40%가 지속적으로 관련증상들을 경험하고 있을 정도”라고 언급했다.
오늘 적응증 추가가 승인된 것은 소아환자들의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에 부응할 치료제들을 선보이고자 사노피가 사세를 집중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자 중요한 연령대에 섭식과 체중유지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반적인 영양섭취와 발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고 있는 소아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내용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1~11세 연령대에 속하고 체중이 최소한 15kg에 해당하는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에게서 16주차까지 관찰된 ‘듀피젠트’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들에게서 24주차까지 관찰된 안전성 프로필과 일반적으로 대동소이했다.
‘듀피젠트’를 투여받은 그룹에서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2% 이상 좀 더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을 보면 주사부위 반응, 상기도 감염증, 관절통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 등이 보고됐다.
‘호산구성 식도염 KIDS 시험’ B파트 피험자 가운데 ‘듀피젠트’를 투여받았던 1명에게서 연충(蠕蟲) 감염이 보고되기도 했다.
01 | 제약바이오협 "식약처 WHO 우수규제기관 목... |
02 | 씨젠, 2분기 매출 전년비 14%↑ 1141억원∙영... |
03 | 한국콜마, 2분기 매출 7308억원…전년比 10.7... |
04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05 | 제이피아이헬스케어,수요예측 경쟁률 942.71... |
06 | 릴리 경구 GLP-1 복용 72주 후 체중 12.4% ↓ |
07 |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 |
08 | 큐로셀, '안발셀' 성인 백혈병 임상1/2상 I... |
09 | 넥스모스, ‘압타민C’ 국제저널 ‘Frontiers i... |
10 | 원텍 ‘베인케어’, 브라질 의료기 인증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