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벤처기업에 최대 난점은 성공 여부가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성공 공식으로 일컬어지는 ‘AI(인공지능) 신약개발’과 ‘난치성 희귀질환’ 타깃 전략을 통해 신약개발 성공 가능성을 3배 이상 끌어올렸다.”
![]() |
파로스아이바이오 윤정혁 대표이사는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진행된 코스닥 상장 기자간담회에서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신약개발 성공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자신 있게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10~11일 수요예측, 17~18일 청약을 거쳐 27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주식수는 140주며, 공모예정금액은 최대 252억원이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윤 대표는 신약개발 벤처기업이 가진 가장 큰 불안요소인 막대한 개발 비용과 장시간 소요되는 개발 기간을 AI 신약개발 플랫폼과 난치성 희귀질환 타깃 전략이 해결해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약개발은 막대한 비용과 오랜 연구 기간이 필요하지만 벤처 기업은 이를 감당할 자금이 턱없이 부족하다. AI 신약개발과 난치성 희귀질환 타깃은 효율성을 극대화 함으로써 신약개발 벤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AI신약개발지원센터에 따르면 AI 신약개발은 기존 15년이 소요되는 개발 기간을 절반 수준인 7년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연구개발 비용도 50% 이하로 대폭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은 2022년 FDA가 승인한 신약 중 절반이 넘는 54%(20건)가 난치성 및 희귀의약품 치료제였고, 미충족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가속승인도 16%(6건)로 집계됐다.
윤 대표는 “자체 개발한 AI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는 연구개발 비용과 기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최대 강점”이라며 “특히 AI를 활용해 사람이 할 수 없는 방대한 양의 테스트를 통해 도출된 신약후보물질은 안전성과 유효성에서 더 우수하다”고 말했다.
![]() |
또한 파로스아이바이오가 난치성 희귀질환을 타깃하는 개발 전략도 효율성을 올리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고혈압 또는 당뇨병과 같은 일반적인 질환에 대한 신약 승인은 임상 3상까지 전 과정을 마치고도, 기존 사용 중인 의약품 대비 우월성을 입증해야 한다. 반면 난치성 희귀질환은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FDA EMA 등, 규제기관에서 조건부 승인 제도를 통해 임상 2상의 결과로 우선 사용 및 판매를 승인한다. 즉, 가장 많은 비용과 긴 기간이 소요되는 임상 3상을 정당한 방법으로 건너 뛸 수 있는 전략인 셈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선두 파이프라인 PHI-101은 급성골수성백혈병(이하 AML)에 대해 2019년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지정(ODD)을 받았다. 또 다른 유망 파이프라인 PHI-501도 악성 흑색종 등 난치성 고형암에 대해 2021년 희귀의약품지정을 받았다. PHI-101은 AML 환자에게서 최대 30% 발현되는 FLT3(FMS-like tyrosine kinase 3) 돌연변이에 작용하는 표적항암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현재 PHI-101-AML에 대해 국내와 호주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 |
파로스아이바이오 한혜정 CDO(최고개발책임자)는 "임상 1상에서 총 19명 환자에게 PHI-101을 투여한 결과, 골수악성세포 비율이 평균 77% 감소하는 강력한 항암효과를 보였다”면서 “특히 환자 4명에게서 정상 수준인 완전관해(CR)가 관찰됐다”고 밝혔다.
한 CDO는 PHI-101가 같은 기전의 현재 사용 중인 일본 아스텔라스의 ‘조스파타(Xospata, 성분명 Gilteritinib)’보다 더 우수하다는 입장이다. 임상 1상 대상자 중 조스파타 치료 후 재발 또는 불응자에게서도 강력한 항암효과가 관찰됐다는 이유에서다.
한 CDO에 따르면 조스파타의 재발 및 불응한 환자 5명에게서 PHI-101은 임상적 효능이 나타났다. 특히 5명 중 2명에게선 완전관해가 확인됐다. 또한 유사한 조건에서 PHI-101의 객관적반응률(ORR)은 67%인데 반해, 조스파타는 47.3% 수준으로 PHI-101이 더 우수하다. 아울러 PHI-101을 28일간 투여했을 때 용량제한독성(DLT)도 관찰되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임상 1상에 대한 자세한 결과를 오는 12월 미국 혈액암학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한 CDO는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코스닥 상장이라는 도약을 통해 글로벌 기술이전 및 조기 상용화를 이뤄 글로벌 바이오텍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01 | SCL사이언스,펜타메딕스 인수..개인 맞춤형 ... |
02 | 제이엘케이, AI 뇌경색 회복 예측 연구 결과... |
03 |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 알코올성 간경변 환... |
04 | "데이터 안 모으면, 3강 진입 없다" 한국 AI... |
05 |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2025 대한민국 일자... |
06 | 에이테크아이엔씨, ISO 13485 인증 획득..해... |
07 | 에피바이오텍, 베이징 노스랜드와 JV 설립 ... |
08 | 문신사법, 법사위 통과 하루 만에 본회의 좌... |
09 | "한국, 세계 3대 AI 강국 유력" AWS '퍼블릭... |
10 | 대한한약사회, 동아대병원 문전약국 소송 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