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는 15일 대통령 주재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바이오, 반도체 등 6대 첨단산업 분야에서 초강대국으로 도약 및 육성전략에 대한 환영의 뜻을 밝혔다.
지난해 5월 중국, 9월 미국 정부가 연달아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경제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한국 정부와 국회도 최근 바이오 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수립하고,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바이오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협회는 "현재 우리나라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역량과 바이오시밀러 등 특정 제품의 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는 선진국 등 세계 주요 시장에 비교열위에 처해있다"라며 "작년 기준 세계 1위 바이오기업인 화이자의 매출은 약 1,003억 달러(한화 약 123조원)에 달해, 국내 최대 바이오기업의 매출액이 약 3조원 인 점과 비교하면 여전히 현격한 격차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최근 국내 바이오 업계에 대한 국내외 투자가 위축되면서, 자금조달 및 R&D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정부 차원의 R&D 지원 확대 및 대규모 펀드 조성, 세제 확대 등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 지원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협회는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공급 확대 측면의 ‘육성 정책’과 더불어 수요 창출 관점의 ‘규제혁신 정책’을 균형감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며 "국제표준에 맞으며, 첨단 바이오 신기술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선진화된 규제 시스템을 갖추고 전문 심사인력을 지속 확충하는 등 규제 측면에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윤석열 정부가 바이오산업 강대국 도약을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총력 지원하겠다는 발표를 진심으로 환영한다"라며 "협회와 바이오 업계도 바이오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고 국내 산업 및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