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셀바이오, 모노바디 기반 CAR-T 치료제 PCT 출원
높은 암세포 살상능 보유 및 다중항원 인식 가능…고형암에 효과적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5-27 15:56   

박셀바이오 모노바디 CAR와 scFv CAR 비교자료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대표 이제중)가 개발중인 모노바디(Monobody) 기반의 차세대 CAR-T 세포치료제의 국제특허(PCT)를 출원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CAR-T 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에 유전자 조작 과정을 거쳐 다시 투여하는 차세대 항암면역세포치료제다.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추적할 수 있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를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에 결합해 환자의 면역계를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암을 치료한다. 

CAR-T 치료제는 높은 치료 효과로 ‘꿈의 항암제’라고 불린다. 하지만 고형암의 경우 환자마다 다른 항원을 발현하는 이형질성(heterogeneity)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암세포를 인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항원의 변이가 비교적 단순한 혈액암 위주로 개발이 되어왔다.

박셀바이오에서 개발한 모노바디는 기존 CAR-T 치료제가 주로 이용하는 scFv(항체 단편, single chain fragment variable)의 1/3 크기로 이론적으로 3개의 수용체를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이는 전체 암의 90%를 차지하는 고형암을 표적으로 하는 CAR-T 세포치료제 개발에 큰 강점이 될 수 있다.

박셀바이오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CAR-T 치료제 개발에 계속해서 힘써왔다. 작년 5월 특허 출원한 모노바디 기반 CAR-T 치료제에 더해 올해 3월에도 PD-L1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CAR-T 치료제를 개발해 공동으로 특허 출원한 바 있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이어 나가며 국제학회 등에서 관련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박셀바이오 관계자는 “국내 특허 출원에 이은 국제 특허 출원(PCT 출원)으로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CAR-T 치료제의 선두주자로 한 발짝 더 나아가고자 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기술개발을 통해 앞으로도 발전된 성과를 보여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