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론바이오 (대표 윤경원)는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인 ‘mRNA 점막백신 기술’과 관련해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출원된 특허 기술은 mRNA 점막백신에 관련된 기술로, 점막백신 효과 증대 기술에 관련한 특허며,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한 박테리오파지 디스플레이 (Phage display) 기법이 적용돼 개발된 점막백신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이다.
인트론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강상현 연구소장은 “이번 개발된 mRNA 점막백신 특허 기술은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을 위한 mRNA 백신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RNA 기반의 다양한 의약품 기술로도 개발될 수 있어 향후 항암제 개발,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 노화 관련 약물 개발 등 다양한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다양하게 확장돼 활용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mRNA 백신 기술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그 유용성이 크게 부각된 기술 분야라 할 수 있다. 화이자 (Pfizer)나 모더나 (Moderna)社의 COVID-19 백신 등 mRNA 백신은 신속한 개발과 산업적 대량 제조에 있어 기존 백신들에 비교하여 많은 장점이 있으며, mRNA 활용 기술은 감염성 질환 예방 목적의 백신기술 뿐만 아니라 암과 같은 난치병의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mRNA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주요 분야로는 면역요법 (Immunotherapy) 분야, 단백질-대체 요법 (Protein-replacement therapy) 분야, 그리고 재생의학 (Regenerative medicine) 분야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번 개발된 mRNA 점막백신 특허 기술을 이용해 단기적으로는 COVID-19 및 독감 (Flu) 백신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한바, 본격적인 관련 백신 개발을 위한 관련 국내 및 해외 기업들과의 제휴를 모색해, 실질적 산업적 개발 및 상업 생산과 관련한 사업논의를 시작해 나갈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인트론바이오 생명공학연구소 강상현 연구소장은 “mRNA는 큰 대세로 자리 잡았고, 특히 COVID-19에 있어 2~3년을 내다봐야 하는 후발업체의 입장에서는 경쟁력 높은 백신 관련 원천기술의 확보가 중요했다. 이에, 기존 모든 회사가 타깃하는 주사형태가 아니라, 점막투여 (Mucosal administration)가 가능한 형태의 기술개발이 필요했으며, 박테리오파지 디스플레이 기법을 통해 관련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는 것은 새로운 원천기술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트론바이오의 윤경원 대표는 “이번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 mRNA 백신 개발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바이러스 질환 대응을 위한 파지러스 (PHAGERUS) 기술과 항암제 개발 등에 있어 면역적 접근을 하는 파지리아러스 (PHAGERIARUS) 기술과 함께 이번 파지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확보한 mRNA 점막백신 플랫폼 기술은 인트론바이오의 ‘혁신적인 혁신 (Innovative innovation)’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