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선천성 매독으로 치료를 받은 250명에게 가장 흔히 나타난 임상 양상은 황달(140명, 전체 56%) 이었다. 뒤를 이어 청각장애(34명, 전체 14%), 신장질환(21명, 8%), 정신지체(19명, 8%) 순서를 보였다. 또한, 태내 성장지연과 미숙아도 15명이 관찰돼 전체 6%를 기록했다.
특히 연구팀은 5년 간의 연구기간 중 총 14건의 신경매독 신생아가 발생한 점에도 주목했다. 신경성 매독을 보이는 경우엔 정신지체, 눈의 침범, 청각장애, 신장질환 등의 합병증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했다(위험도 8.49, P <0.0001). 이번 연구에서도 신경성 매독 환자 중에서 1명의 정신지체 사례와, 6명의 청각 장애 사례가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순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신생아들의 선천성 매독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국가 차원에서 선천성 매독을 줄이기 위한 표준화된 지침이 수립되고 질병 치료제도 및 향후 관리 방안이 마련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공학 및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메드 센트럴 소아과학(BMC pediatrics (IF : 2.849))’ 최신호에 「Outcomes of infants born to pregnant women with syphilis: a nationwide study in Korea : 매독 증상을 지닌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대한민국 전체 유아 연구 결과」 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