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매사추세츠州 캠브리지에 소재한 차세대 전령 RNA(mRNA) 치료제‧백신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모더나 테라퓨틱스社(Moderna Therapeutics)가 자체 생산시설과 외부 제휴선들의 생산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신규 자금투자를 단행했다고 24일 공표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내년에 100μg 용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약 14억 도스 분량까지 생산‧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에서 이 같은 자금투자를 단행하고 나선 것이다.
이처럼 자금투자를 단행하고 나섬에 따라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코로나19’ 백신 ‘COVID-19 백신 모더나’(‘mRNA-1273’의 새 명칭)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최근 새롭게 고개를 들고 있는 SARS-CoV-2의 변종들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항원보강 백신을 생산하기 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이미 자체 생산시설과 외부 제휴선들의 생산시설의 용량을 추가로 확대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6~9개월 일정으로 생산용량을 확충하고, 허가취득과 생산량 증가를 진행하는 데 추가로 시일이 소요될 것임을 감안하면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생산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최대 12개월 정도의 시일이 필요할 전망이다.
모더나 테라퓨틱스社의 스테판 밴슬 대표는 “각국 정부와 협의를 진행한 결과 우리의 ‘코로나19’ 백신을 원하는 수요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면서 “이에 따라 우리는 생산용량을 실질적으로 확충하는 데 사세를 집중하기에 이른 것”이라고 말했다.
밴슬 대표는 “더욱이 우리의 ‘코로나19’ 백신이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데다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의 면역계 증강을 돕는 변종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만큼 우리의 백신을 원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모더나 테라퓨틱스는 생산용량을 추가로 확대하는 데 투자해 생산량을 늘리고, 항원보강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성까지 확보해 최근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바이러스 변종들에 대응하고자 한다고 밴슬 대표는 강조했다.
그는 뒤이어 “오늘 우리는 다양한 항원보강 백신들의 임상시험 진행과 관련한 전략까지 공개했다”며 “추가로 단행한 자금투자에 힘입어 내년에 100μg 용량의 ‘코로나19’ 백신을 14억 도스 분량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게 우리의 예상”이라고 밝혔다.
50μg 등의 소용량 변종 항원보강 백신이 필요하게 되면 내년에 20억 도스 이상의 분량을 생산‧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에 따르면 내년 생산량은 항원보강 용량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이에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50μg 및 50μg 이하 용량의 변종 기반 항원보강제들에 대한 시험과 ‘mRNA-1273’의 추가 항원보강 시험을 진행할 방침이다.
50μg 항원보강제의 용량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내년에 14억 도스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의 총 공급량이 허가를 취득한 100μg 용량의 ‘코로나19’ 백신과 허가받은 항원보강제 용량의 배합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전체를 50μg 항원보강제로 생산할 경우 2022 회계연도에 최대 28억 도스 분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또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2021년도 전 세계 제조분량을 당초의 6억 도스에서 7억 도스로 확대할 것이라고 공표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처리율(throughput)을 개선할 수 있는 다른 대안들도 강구하고 있는데, 가동률을 더욱 최적화할 경우 2021 회계연도에 최대 10억 도스 분량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으로 봤다.
지금까지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미국 정부 공급분 약 5,500만 도스를 포함해 약 6,000만 도스 분량을 세계 각국에 공급했다. 이 중 약 400만 도스 분량의 최초 공급분은 미국 이외의 공급망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다.
미국 이외의 공급망은 미국 내 공급망에 비해 4분의 1 정도의 규모이지만, 확충공정이 진행 중이다.
이에 더해 약 3,300만 도스 분량이 미국에서 생산되어 바이알 충진을 비롯한 최종단계를 거쳐 출하를 앞두고 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1/4분기 말까지 미국 정부에 1억 도스 분량에 대한 최초 공급을 완결짓은 후 오는 5월 말까지 두 번째 공급분 1억 도스를 공급하고, 오는 7월 말까지 세 번째 1억 도스 분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말 이후로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월별 미국 정보 공급분량을 2배로 확대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4월까지 이 분량을 다시 2배로 확대해 월별 공급량을 4,000만 도스 이상으로 늘릴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외부의 제휴선 및 연방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지속하면서 병목현상이 나타났을 때 대응책을 강구하고, 생산속도가 가속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충진‧마무리(fill-and-finish) 공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됐는데, 이 같은 문제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바이알당 주입용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했다. 시설 가동속도를 높이고 수요가 높은 소모성 원료 필요량을 낮춰 산출량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도모했던 것.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FDA가 이 같은 제안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보내옴에 따라 더 많은 분량을 한층 더 신속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보였다.
한편 모더나 테라퓨틱스 측은 외부의 생산 제휴선 및 연방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품질이나 안전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생산공정의 효율성을 눂여 나간다는 복안이다.
01 | 서울에 모인 한·중 제약바이오 리더들…"전략... |
02 | "유전체데이터 혁신 앞장" NDS, 'AWS 퍼블릭... |
03 | 디티앤씨알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 |
04 | 해외 의약품 제조소, 미국 FDA ‘기습 불시 ... |
05 | 아리바이오, 저주파 음향진동 전자약 기술 S... |
06 | 케어젠, 튀르키예 ‘아타바이’ 와 펩타이드 ... |
07 |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 |
08 | UNICEF “전세계 비만아동 최초 저체중아 추월” |
09 | 헐리우드와 빅파마 만남…줄리안 무어-릴리 ... |
10 | MoCRA 제대로 모르면 낭패, 선케어 미국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