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이오사업본부를 출범시킨 국동(대표 변상기, 오창규)이 23일 서울 기업부설 생명과학연구소에서 인간항체 형질전환 마우스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휴맵,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독자 기술 벤처인 쎌트로이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사이토카인 폭풍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공동연구 및 임상개발 프로젝트 협약식을 가졌다.
국동 오창규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치료제 개발은 쎌트로이의 플랫폼 기술을 적용하며 치료 물질 효력 및 비임상 시험은 휴맵과 함께 담당하고, 임상시험은 국동 바이오사업부에서 역할을 분담해 효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3사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는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와 관련해 쎌트로이의 단백질 공학기술을 적용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숙주세포 내부로 침투할 때 출입구로 사용되는 막단백질에서 유래한 일종의 ‘미끼’ 단백질로 감싸 숙주세포와 결합을 차단해 감염을 예방하는 원리다.
싸이토카인 폭풍 억제 신약물질은 면역세포에 특이적으로 침투하는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에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을 융합한 것으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경쟁사들 약물에 비해 독성이 적고 효과는 뛰어난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국동 바이오사업부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황반변성 치료제는 혈관 신생 유도인자인 VEGF 생성을 원천 차단하는 물질을 점안액 형태로 제품화해 투약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치료제로 선보일 계획이다. 3사 공동 연구 개발에서는 해당 물질을 점안액 형태로 개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국동 오창규 대표는 "국동 생명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각 사가 가진 노하우와 인프라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바이오 신약 개발을 진행할 방침"이라며 "공동 개발 목표 치료제들은 현재까지 완전히 개발되지 않았거나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질환들로 성공적으로 개발될 경우 산업적 의미와 성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분야"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