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약대 졸업>
현재 미국 약대는 모두 6년제 약학 박사과정(Pharm.D.)으로 이루어져 있다. 약사인력의 고급화를 꾀하며 종전 5년제 약학사(B.S. Pharmacy)과정을 바꾼 것이다. 예과(pre-pharm) 2년 과정을 이수한 후 본과(Phram.D.) 4년을 수료하면 학위를 받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미국약사면허시험 응시 자격이 생긴다.
pre-pharm 이수(2년) | → | Pharm.D. 이수(4년) | → | 미국약사면허시험 응시 |
1. pre-pharm 과정
약대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일반대학이나 약대와 연결된 학교에서 2년간 pre-pharm 과정의 수업을 받는다. 이 과정을 마치고 나면 학점 등을 평가하여 본과인 Pharm.D. 과정에 지원한다. 미국에서 이학을 전공한 경우, pre-pharm 과정과 겹치는 과목이 있으면 그 과목을 면제해 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대학은 해당사항이 없으므로 전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예>
Auburn University 의 pre-pharm 커리큘럼 | |
Inorganic Chemistry | 실험실습 포함 1년 |
Organic Chemistry | 실험실습 포함 1년 |
Principles of Biology | 한 학기 |
Anatomy and Physiology | 한 학기 |
Physics | 한 학기 |
Calculus | 한 학기 |
Statistics | 한 학기 |
선택과목 | 6시간 |
2. Pharm.D. 과정
pre-pharm 과정을 이수하고 약대에 입학허가를 받으면 본격적인 약학 박사과정을 밟을 수 있다. 4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위취득 후에는 미국약사면허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생긴다.
<예>
하버드 대학 Pharm.D. 커리큘럼 (134학점) | |||
1년차 가을학기 과목 | 학점 | 1년차 봄학기 과목 | 학점 |
Human Anatomy/Histology | 4 | General Physiology | 4 |
총 이수학점 | 18 | 총 이수학점 | 17 |
2년차 가을학기 과목 | 학점 | 2년차 봄학기 과목 | 학점 |
Pharmacology I | 4 | Pharmacology II | 4 |
총 이수학점 | 17 | 총 이수학점 | (17) |
3년차 가을학기 과목 | 학점 | 3년차 봄학기 과목 | 학점 |
Biostatistics | 4 | Pharmacopidemiology | 3 |
총 이수학점 | 18 | 총 이수학점 | (17) |
4년차 가을학기 과목 | 학점 | 4년차 봄학기 과목 | 학점 |
Prof. Prac. Exp. II | 15 | Prof. Prac. Exp. III | 15 |
총 이수학점 | (18) | 총 이수학점 | (18) |
3. 국내 약대 졸업생의 편입
미국 약대과정이 6년제 박사과정으로 바뀜에 따라, 4년제 학사학위를 가진 국내약사는 미국약대 진학시 별다른 혜택을 받지 못한다. 예과 과정도 면제받지 못하고 6년 과정을 모두 소화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내 약사면허 소지자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고, 미국 내 약대들이 속속 신설되고 있기 때문에 외국약대졸업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미국약대 편입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예는 외국약사면허취득 전문 교육기관인 OPI와 St. John's University(www.stjohns.edu)의 제휴를 들 수 있다. 현재 OPI가 진행하고 있는 미국약대진학 프로그램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PGEE 합격, TOEFL 준비 (1년 예상) |
↓ |
St. John's University의 Pharm. D.과정 3년차 편입 |
↓ |
Pharm.D. 취득, 약사고시 응시자격 획득 |
↓ |
약사면허시험 응시 |
OPI측의 설명에 따르면, FPGEE를 패스한 경우 St. John's University 측에서 미국약대생들과 동등한 수준에 있다고 인정하기 때문에 본과 3학년에 편입이 가능하다. 또한 FPGEE에 응시할 수 없는 2003년 1월 1일 이후 졸업자들은 학교측과의 차후 협의를 통해 편입을 주선할 예정이라고 한다. 편입준비 기간은 대략 6개월∼1년 정도로 보고있다.
미국약대로 편입할 경우의 이점은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까다로운 영어시험인 TSE(Test of Spoken English) 점수를 제출할 필요가 없어 영어에 대한 부담이 적다. TSE는 문제에 대한 답을 tape에 녹음하여 제출하는 시험으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게다가 미국약사면허취득 과정에서는 60점 만점에 50점 이상의 고득점을 요구하므로 결코 만만치 않은 시험이다.
둘째, 면허만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약학 박사학위까지 취득하므로 미국인과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고 향후 진로 결정에 있어서도 선택의 폭이 넓다.
01 | "ADC 넘을 모달리티 나왔다" 오름테라퓨틱, ... |
02 | 2025년 비급여 693항목 공개…같은 진료 최대... |
03 | 셀트리온, ‘아이덴젤트’ 52주 임상서 유효성... |
04 | '2025 LSK Global PS, 창립 25주년 기념 심... |
05 | 코아스템켐온, 미국 재생의학연구소 WFIRM과... |
06 | 한국비엔씨, 진메디신과 장기지속형 비만치... |
07 | 인트론바이오,'SAL200' 수술전 처치 약물 임... |
08 | 아이엠비디엑스, 액체생검 새 시대 연다..환... |
09 | 퓨쳐켐,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美 임상 2a... |
10 | 아미코젠, 기존 특허 장벽 돌파 차세대 인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