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혁신전략' 전문인력 방점…"'NIBRT형 모델' 주목"
제2차 제약종합계획과 병행 · 약가는 미반영…컨트롤타워 복지부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5-23 06:25   수정 2019.05.23 13:18
"제약바이오 업계도 사람(전문인력)이 먼저다"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 혁신전략'이 제약바이오업계가 원하는 세제·인허가 등 전주기 종합지원을 표방하는 가운데, 특히 전문인력 양성에 공을 들여 유례없는 성과를 보여주겠다는 포부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의미를 짚어냈다.

임인택 국장은 "그동안 정부에서 산발적 대책들이 있었으나 향후 10년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 필요성이 요구돼 발표를 구성하게 됐다"며 "사람 중심 신성장을 실현하는데에 궁극적 목표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람을 중심에 놓고 바이오헬스를 육성해 생명·안전을 확보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도록 하겠다는 취지에서 세부 내용이 구성됐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앞서 발표한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과 투트랙으로 진행되는가

-세계적으로 봤을때 케미컬이 압도적인 비중이었으나, 최근 바이오 분야가 이를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 단적인 예로 10대 기업 중 3개가 바이오기업이다.

그만큼 새로 부각되는 바이오시장에 우리 잠재성이 있기에 이번 혁신 전략의 포커스를 '바이오'에 두었지만, 빅데이터 등 케미컬에도 적용할 부분이 많다.

종전의 육성계획인 제2차 제약종합계획 5개년은 그대로 이행된다. 중복된 부분들은 일부 있긴하나 함께 갈 것이다.

바이오전문인력 양성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듣고 싶다. 대략적 수요와 활용 계획이 있는지

-숫자가 중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연구능력을 제대로 갖춘 최고수준의 인력이라면 1명이 적당한 1000명 보다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최고 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을 목표로 탑클래스 시스템을 마련하려고 한다.

현재 제약특성화대학이 운영중이긴 하지만, 제약업계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배출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를 위해 'NIBRT' 방식의 제약·바이오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정말 제약업계가 원하는 연구 전문인재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011년 설립된 NIBRT는 아일랜드 국립 바이오공정 교육연구소로, 아일랜드 및 전 세계 제약기업, 대학 등의 인력을 대상으로 기초·응용연구, 임상시험, 인허가 등 바이오 제약 전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NIBRT에서는 교육·생산시설·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는데, 노바티스 등 유수의 제약기업을 유치하며 필요한 인력을 양성해 공장오픈 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할 정도로 잘 갖춰진 기관이다.

그중 우선 생산분야 전문 인력을 모델로 오송 생명과학산업단지 등에서 시스템을 하반기 중 시작할 예정이다. 정부가 제약기업과 함께 투자하며,  투자 제약사 직원을 보낼수도있고, 인력을 제약사로 보낼 수도 있다.

관계부처 종합계획으로 발표했는데, 주도하는 부처는 어디인지

- 바이오산업 육성을 정책적으로 견인하는 부처가 어디인지에 대한 언급이 자주 되는데, 이번 혁신 전략은 확실히 '보건복지부'라고 말할 수 있다.

각 부처에서도 복지부가 전향적으로 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어 발전 전략에서도 주도하게 됐다.
 
다만 혼자서 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복지부 혼자 할 수 있는 부분은 반도 안 된다. 산업부 과기부 식약처 등 관계부처와 충분히 협의를 통해 계획을 세웠다.

바이오 관련 약가가 반영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

- 약가에 대한 논의도나왔으나 '육성전략'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았다. 약가는 보상체계이므로 일단 산업 육성에 집중하기로 했다.

약가의 경우 바이오 뿐 아니라 모든 영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바이오 혁신 전략'에서 이야기할 부분은 아니다. 복지부가 최근 추진하는 건강보험 종합계획에 약가가 포함돼 있다.

문재인 정권이 3여 년 남았는데, 관련 계획들을 너무 크게 잡은 것은 아닌가. 지속 가능성은

- 정권이 바뀌어도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이 바뀌지 않을 것이다. 제약산업은 이미 '바이오'를 중심으로 트랜드가 바뀌고 있는데, 정권이 바뀐다고 제약 트랜드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떤 정권이 들어와도 이런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