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약사,‘더 이상 고민할 수 없다’ 연구개발 'GO GO'
정부 제네릭 축소 정책-구조조정-미래 생존 동시 작동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3-14 06:40   수정 2019.03.14 13:13

중소제약사들이 연구개발 쪽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그간 연구개발에 나서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최근 빠르게 이동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발길을 연구개발로 돌리는 공신(?)은 제네릭 난립에 따른 공동생동 제한 정책이다. 공동생동이 최종 ‘1+3’로 제한되고 제도 시행 3년 후 공동(위탁)생동 폐지 정책이 확정됨에 따라, 제네릭으로는 더 이상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며 연구개발 '드라이브'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미래 생존을 혁신신약에 맞추고 연구개발에 전력투구해 온 상위 제약사들과 달리 중소제약사들은 연구개발 당위성을 느끼고 있으면서도 쉽게 나서지 못했다.

성공여부를 장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칫 ‘밑 빠진 독에 물붓기’ 식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망설이면 완전히 뒤쳐진다는 인식이 완전히 형성된 분위기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 중소 제약사들도 회사 미래를 위해 연구개발 중요성을 알기에 하지 않은 것은 아닌데, 많은 중소제약사들이 자금 인력 시간 등으로 섣불리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고민해 온 측면이 있었다”며 “하지만 제네릭 정책이 세워지며 이제는 연구개발로 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굳히고 있다”고 전했다.

그간 중소제약사들이 당위성을 알면서도 연구개발을 놓고 고심만 해 왔지만, 제네릭 정책이 이를 앞당겼다는 진단이다. 

업계에서는 연구개발을 독려하는 정부 정책도 중소제약사 움직임에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정부가 단순히 연구개발을 통한 글로벌제약사 및 제약강국 도약 뿐 아니라, 국내 제약사 구조조정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정부는 수년 전부터 제약산업과 지원책을 거론하며 50곳, 30곳 등 숫자를 표출했다. 정부가 전 제약사를 모두 지원할 수 없는 상황에서 연구개발에 강한 제약사를 지원하고, 이것이 숫자로 나왔다는 게 제약계 일각의 분석이다.

결국 회사 미래 뿐 아니라 정부 눈에 맞추기 위해서도 연구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인식이 중소제약사들에게 다시 각인됐고, 연구개발로 급선회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 연구개발을 독려해 온 정부가 이전부터 제약사가 너무 많고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뉘앙스를 주는 말들이 많이 했는데 정부 지원과 눈치를 떠나 이제 리베이트와 제네릭으로 미래를 담보할 수 없는 시대로 가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형제약사들도 이제는 연구개발 경쟁으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